들른 이 18009926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반드시 펴거나 반듯이 펴거나

디스크 예방법에 관한 강연회장. 의사의 조언을 받아쓰는 손길이 분주하다.

어떤 이는 “허리를 '반드시' 편 채 무릎을 굽히고 앉아 물건 들기”라 적고, 어떤 이는 “허리를 '반듯이' 편 채 무릎을 굽히고 앉아 물건 들기”라고 적는다. 누가 의사의 말을 바르게 옮겼을까?

의미 차이는 있지만 두 문장 모두 어법상 문제가 없다. “허리를 '반드시' 편 채~”의 경우 '틀림없이 꼭' 허리를 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허리를 '반듯이' 편 채~”는 허리를 펼 때 '비뚤어지거나 기울거나 굽지 아니하고 바르게' 해야 함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다만 두 단어를 혼동해 '곧게'란 뜻으로 '반드시'를, '기필코'란 의미로 '반듯이'를 사용해선 안 된다.

“선 채로 허리를 구부려 무거운 짐을 드는 행위는 반드시 삼가라” “의자에 비스듬히 기대지 말고 허리를 펴고 반듯이 앉아라”처럼 써야 한다.

'반듯하다'의 어간에 접사 '-이'가 붙은 '반듯이'는 '반듯하다'에서 온 말임을 알 수 있으므로 그 원형을 밝혀 적은 형태를, 어원이 불분명한 '반드시'는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형태를 각각 표준어로 삼고 있다.

2008/12/16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771 [우리말 바루기] 빙속(氷速) 2010/02/24 중앙일보
1770 [우리말 바루기] `있음에`와 `있으매`의 차이 2010/02/22 중앙일보
1769 [우리말 바루기] 비프가스·돈가스 2010/02/22 중앙일보
1768 [우리말 바루기] 바람끼(?)는 안 돼요 2010/02/19 중앙일보
1767 [우리말 바루기] 않느냐/않으냐 2010/02/18 중앙일보
1766 [우리말 바루기] 생각하건대 → 생각건대 2010/02/17 중앙일보
1765 [우리말 바루기] 사골을 울궈낸(?) 떡국 2010/02/10 중앙일보
1764 [우리말 바루기] 쓸 때는 쓰자 2010/02/10 중앙일보
1763 [우리말 바루기] 손맵시 2010/02/09 중앙일보
1762 [우리말 바루기] 이제야 알았다 2010/02/08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