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63009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반드시 펴거나 반듯이 펴거나

디스크 예방법에 관한 강연회장. 의사의 조언을 받아쓰는 손길이 분주하다.

어떤 이는 “허리를 '반드시' 편 채 무릎을 굽히고 앉아 물건 들기”라 적고, 어떤 이는 “허리를 '반듯이' 편 채 무릎을 굽히고 앉아 물건 들기”라고 적는다. 누가 의사의 말을 바르게 옮겼을까?

의미 차이는 있지만 두 문장 모두 어법상 문제가 없다. “허리를 '반드시' 편 채~”의 경우 '틀림없이 꼭' 허리를 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허리를 '반듯이' 편 채~”는 허리를 펼 때 '비뚤어지거나 기울거나 굽지 아니하고 바르게' 해야 함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다만 두 단어를 혼동해 '곧게'란 뜻으로 '반드시'를, '기필코'란 의미로 '반듯이'를 사용해선 안 된다.

“선 채로 허리를 구부려 무거운 짐을 드는 행위는 반드시 삼가라” “의자에 비스듬히 기대지 말고 허리를 펴고 반듯이 앉아라”처럼 써야 한다.

'반듯하다'의 어간에 접사 '-이'가 붙은 '반듯이'는 '반듯하다'에서 온 말임을 알 수 있으므로 그 원형을 밝혀 적은 형태를, 어원이 불분명한 '반드시'는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형태를 각각 표준어로 삼고 있다.

2008/12/16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748 [우리말 바루기] `추세`와 `추이` 2010/01/19 중앙일보
1747 [우리말 바루기] 늘어붙은(?) 누룽지 2010/01/15 중앙일보
1746 [우리말 바루기] 잣눈 2010/01/14 중앙일보
1745 [우리말 바루기] 에이다/에다 2010/01/13 중앙일보
1744 [우리말 바루기] `미끌어지는 일`은 불가능하다 2010/01/12 중앙일보
1743 [우리말 바루기] `엠티` 말고 `모꼬지` 갑시다 2010/01/11 중앙일보
1742 [말바로 글바로] 언어 경제학 2010/01/08 국민일보
1741 [우리말 바루기] 섣잡은(?) 손잡이 2010/01/08 중앙일보
1740 [우리말 바루기] 만남에 관한 말 2010/01/07 중앙일보
1739 [우리말 바루기] 안성마춤(?) 2010/01/06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