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56444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일본식 야구용어` 이제 그만

"오늘 저 투수의 코너워크는 완벽하네요. 인코너 꽉 찬 공을 팍팍 꽂아넣고 있어요. 정말 나이스볼입니다."
"그렇지만 다음 타석에 들어설 백넘버 2번과 5번 선수는 어제 랑데부 홈런을 친 강타자입니다. 경기 전에 프리배팅하는 것을 보니 오늘도 힘이 넘치는 라이너타구를 펑펑 날릴 겁니다."

흔히 듣는 야구중계방송의 한 토막이다. 영어에 프랑스어까지 섞여 있지만 야구팬들은 아무 어려움 없이 알아듣는다.그런데 이런 표현들은 정작 야구종주국 미국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언어의 축약과 조합에 능한 일본인이 만들어낸 말이기 때문이다. 따지고 보면 우리가 베이스볼(baseball)을 원뜻과는 거리가 먼 `야구(野球)`라고 하는 것부터 일본식이다.

앞에 인용한 중계방송의 엉터리 영어를 `진짜 영어`로 바로잡으면 이렇다. 코너워크→로케이션(location), 인코너→인사이드(inside), 나이스볼→굿피치(good pitch), 백넘버→유니폼넘버(uniform number), 랑데부홈런→백투백홈런(back-to-back homerun), 프리배팅→배팅프랙티스(batting practice), 라이너→라인드라이브(line drive).

이밖에도 평범한 뜬공이라는 뜻으로 쓰는 이지플라이(easy fly), 타자의 몸에 바짝 붙여 던지는 공을 말하는 니어볼(near ball) 등 일본제 영어는 수없이 많다. 이지플라이는 루틴플라이(routine fly), 니어볼은 브러시백(brush back)으로 바꿔 써야 한다.

몇년 전부터 한국 야구계에도 미국야구를 경험하고 온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엉터리 야구용어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말이란 습관이기에 쉽사리 고쳐지지 않는다. 또 정확한 용어를 쓰자면 길기도 하고 발음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선수와 지도자는 물론 언론까지 여전히 엉터리 야구용어를 쓰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아무튼 이제는 야구용어를 종합적으로 재정립하고 `볼넷`이나 `뜬공`처럼 적절한 우리말로 바꾸려는 노력도 필요하지 않을까. 영구결번됐던 선동열(전 해태)의 `백넘버` 18번이 24일 기아의 새내기 투수 김진우에게 대물림됐다는 기사를 보며 새삼스레 든 생각이다.

2002/01/25 굿데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79 연극영화용어 `英·日語 세상` 2002/02/05 국민일보
178 [NIE] `통신 언어` 통역 있어야 이해 2002/02/04 중앙일보
177 [지평선] 영어 광풍 2002/01/31 한국일보
176 [다산칼럼] 영어발음 제대로 하자 .. 2002/01/31 한국경제
175 법조문, 어려운 한자.용어 투성이 국민 불편 2002/01/29 매일경제
174 [독자편지]이경산/광고지 우리말 표기 멋대로 2002/01/29 동아일보
173 [발언대] 원어민 발음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우선 2002/01/28 한국일보
172 `일본식 야구용어` 이제 그만 2002/01/25 굿데이
171 순 한글 이름 점점 사라진다 2002/01/23 중앙일보
170 엉터리 국어참고서 `말썽`…반품거부 단속도 안해 2002/01/23 국민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