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증권관련 외국용어, 쉬운 말로 정비>
|
인센티브, 프랜차이즈, 롱포지션 등 증권 관련 외국용어가 각각 성과보수, 가맹점, 매수포지션 등으로 바뀐다.
금융감독위원회는 26일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증권업 감독규정 등 증권 관련 규정과 세칙에 사용되고 있는 외국용어를 대폭 정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감위의 방안에 따르면 M&A는 `기업인수 및 합병`, 숏포지션은 `매도포지션`으로 각각 대체된다.
리스크관리, 역외펀드, 딜러도 각각 `위험관리`, `역외금융회사`, `자기매매업자`로 표시된다.
우리말로 대체할 경우 의미 전달이 불분명한 용어는 우리말과 외국어가 함께 사용된다.
듀레이션은 `가중평균만기(duration)`, CD는 `양도성예금증서(CD)`, BIS는 `국제결제은행(BIS)`, MMF는 `초단기투자신탁(MMF)`으로 각각 표기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그대로 유지된다.
여기에는 포지션, 델타, 감마, 베가, 콜옵션, 풋옵션, 스왑, 홈페이지, 프리미엄, 시스템, 소프트웨어, 델타플러스법, 콜론, 마이크로필름, 바스켓, 포트폴리오, 시나리오법, 매트릭스, 인터넷, 워런트, 헤지, 전자서명생성키, 전자서명검증키 등 24개 용어가 해당된다.
2003/06/26 연합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