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89127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네티즌 글사랑] 쑥맥? 한자어 `숙맥`이 바른 표현

사리분별이 없는 어리석은 사람을 일컫는 말로 `쑥맥`이 널리 쓰인다. "길동이 녀석, 알고 보니 쑥맥이더구먼" 따위가 그 예다. 하지만 `쑥맥`은 바른 말이 아니다.

순우리말로 생각되는 `쑥맥`의 바른말은 한자말 `菽麥(숙맥)`이다. `숙맥`은 `숙맥불변(菽麥不辨)`에서 나온 말로, "콩(菽)과 보리(麥)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콩과 보리를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과, 한자말인지 순우리말인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쑥맥`을 `숙맥`으로 쓰는 사람 중 누가 더 어리석을까? 이럴 때 쓰는 말이 `도낀 개낀`이다.

아, 가만! 도낀 개낀? 오십보백보와 비슷한 뜻으로 `도낀 개낀`이나 `도찐 개찐`을 쓰는 일이 흔한데, 어느 말이 바른 말일까? 둘 다 바른 말이 아니다. 바른 말은 `도긴 개긴`이다. 여기서 `긴`은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길의 거리"를 뜻한다.

2003/04/27 굿데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08 차 3대가 차례로 박으면 ‘2중’ 충돌 2003/06/19 파이낸셜뉴스
207 [함초롬한우리말]똥구멍 2003/06/15 한겨레신문
206 [네티즌글사랑] `뭐길래`의 바른말은 `뭐기에` 2003/06/08 굿데이
205 `‘비옷` 입고 `비신` 신어보세요 2003/06/08 한겨레신문
204 [발언대] 굴착기? 굴삭기! 2003/06/03 서울경제
203 [함초롬한우리말](88) 세 번 걷고 절 한 번 2003/06/01 한겨레신문
202 [우리말우리글]야생말→들말, 야인→들사람으로 2003/05/25 한겨레신문
201 [함초롬한우리말](86) 딸아들 2003/05/19 한겨레신문
200 자장밥·김밥처럼 카레라이스보다는 카레밥 2003/05/11 한겨레신문
199 `풍지박산` 바른 말은 `풍비박산` 2003/05/11 굿데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