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1158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풍지박산` 바른 말은 `풍비박산`

한자의 뜻을 바르게 알지 못하거나 한자 자체를 모르는 탓에, 그 한자말을 한글로 적으면서 잘못 쓰는 말이 부지기수다.

"사업 실패로 집안이 풍지박살이 났다" "풍지박산났던 가족이 다시 만났다"의 `풍지박살`이나 `풍지박산`도 그런 예 가운데 하나다. "사방으로 흩어진다"는 뜻으로 `풍지박살` 또는 `풍지박산`이 폭넓게 쓰이는데, 이들 말의 바른말은 `풍비박산(風飛雹散)`이다. 風飛雹散은 말 그대로 "우박(雹)이 바람(風)에 날려(飛) 흩어짐(散)"을 뜻한다.

한자 사자성어 사이에 순우리말을 끼워넣어 엉뚱한 말로 만들어 쓰는 일도 흔하다. `양수겹장`과 `야밤도주`가 그런 예 가운데 하나다. "장기에서 두 말이 한꺼번에 장군을 부르는 일"을 뜻하는 `양수겹장(兩手겹將)`은 `양수겸장(兩手兼將)`이, "남의 눈을 피해 밤에 몰래 달아남"을 뜻하는 `야밤도주(夜밤逃走)`는 `야반도주(夜半逃走)`가 바른 말이다.

2003/05/11 굿데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08 차 3대가 차례로 박으면 ‘2중’ 충돌 2003/06/19 파이낸셜뉴스
207 [함초롬한우리말]똥구멍 2003/06/15 한겨레신문
206 [네티즌글사랑] `뭐길래`의 바른말은 `뭐기에` 2003/06/08 굿데이
205 `‘비옷` 입고 `비신` 신어보세요 2003/06/08 한겨레신문
204 [발언대] 굴착기? 굴삭기! 2003/06/03 서울경제
203 [함초롬한우리말](88) 세 번 걷고 절 한 번 2003/06/01 한겨레신문
202 [우리말우리글]야생말→들말, 야인→들사람으로 2003/05/25 한겨레신문
201 [함초롬한우리말](86) 딸아들 2003/05/19 한겨레신문
200 자장밥·김밥처럼 카레라이스보다는 카레밥 2003/05/11 한겨레신문
199 `풍지박산` 바른 말은 `풍비박산` 2003/05/11 굿데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