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88808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네티즌글사랑] `뭐길래`의 바른말은 `뭐기에`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

파인 김동환님의 시 `산 너머 남촌에는`의 한 부분이다. 이 시는 여인네의 사뿐한 걸음을 연상케 하는 운율 덕에 동요와 대중가요로도 널리 불렸다.

한데 이 시에 나오는 `-길래`는 바른말이 아니다. 사투리다. `-길래`는 10여년 전 장안의 화제를 모으며 `대발이` 최민수를 브라운관의 스타로 만든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 이후 마치 바른말인 양 위세를 떨치고 있으나, 정작은 `-기에`가 바른말이다.

원래 우리말에서 `-ㄹ래`는 "장차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 스스로의 의사를 나타내거나 상대편의 의사를 묻는 데 쓰이는 `종결어미`"다. "나, 이제 집에 갈래"나 "너, 오늘 우리 집에 올래?" 따위가 바른 쓰임의 예다. `-ㄹ래`는 종결어미이므로 그 뒤에는 어떤 말도 올 수 없다.

"네가 뭐길래 내 일에 간섭이냐" "사랑이 뭐길래 이토록 마음을 아프게 하나" 따위로는 못 쓴다는 얘기다.

2003/06/08 굿데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18 애매모호의 ‘애매한’ 만남 2003/07/14 미디어오늘
217 [함초롬한우리말]‘깎아팔기’로 쓰는 마음 2003/07/13 한겨레신문
216 [우리말 클리닉] ‘간하다’와 ‘맛내다’의 차이 2003/07/10 파이낸셜뉴스
215 [네티즌글사랑] 설레이다 X -> 설레다 O 2003/07/06 굿데이
214 [함초롬한우리말]‘이산가족상봉’을 우리말로.. 2003/07/06 한겨레신문
213 공대법 글 쓸 때도 적용… 기사는 예외 2003/07/03 파이낸셜뉴스
212 [함초롬한우리말](92) 물스키 2003/06/29 한겨레신문
211 [우리말 클리닉] 과거∼미래시제 분리·표현해야 명확 2003/06/26 파이낸셜뉴스
210 [함초롬한우리말](91) 비, 별, 노을 2003/06/22 한겨레신문
209 [엠파스 지식거래소-그건 이래요] 갈매기살의 유래 2003/06/20 스포츠투데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