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7770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경기도 어려운 행정용어 정비키로

경기도는 어려운 행정용어를 알기 쉬운 구어체 등으로 순화하고 외래어 대신 표준어를 사용하는 등 행정용어를 정비하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도(道)는 행정 전문용어 가운데 어려운 한자어나 외래어 등이 많고 행정조직 내부에서 자체 고안한 신조 외래어까지 남발돼 일반인들의 혼란을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어려운 행정용어나 외래어는 가급적 쉬운 우리말로 대체하고 우리말로 바꾸기 어려운 일부 전문용어는 한글용어와 병행.사용하며 대체할 만한 마땅한 단어가 없는 경우 풀어서 쓰거나 주석을 달아 보충설명하기로 했다.

개선 예정인 주요 용어 가운데 한자어는 양지(諒知).해량(海諒)→양해, 품의(稟議).품신(稟申)→건의, 영치(領置)→보관, 호소(湖沼)→호수와 늪 등이다.

또 외래어는 웰빙(Well Being)→건강하고 행복한 삶, NGO→순수민간공익활동단체, 프로젝트(Project)→사업, 원-스톱(One-Stop)→한번으로 해결, 인프라(Infra)→경제활동 기반시설, 테스크 포스(Task Force)→특정과업 수행 형성조직 등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이밖에 신조 외래어 가운데 리 스타트(Re-Start)는 노숙자 자활복귀, 네이버 워치(Neighbor watch)는 빈곤층 돌보기 팜뱅크(Pharm-bank)는 의약품 나눔사업, 실버스타 넷(Silver-star Net)은 전문직 은퇴노인 정보구축, 슬로우푸드(Slow food)는 전통음식, 뮤지엄파크(Museum park)는 박물관 공원, 임베디드시스템(Embedded system)은 맞춤형직업교육과정 등으로 각각 바꿀 예정이다.

도는 6월 중으로 개선할 행정용어들을 발굴, 표준안을 만들어 도 및 시.군 행정부서에 권고할 계획이다.

2006/05/25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15 문화 류씨 `가문의 승리` 2006/06/13 중앙일보
213 6월은 `호국보훈의 달`로…원래 이름 되찾아 2006/06/06 매일신문
212 호나우디뉴→호나우지뉴 축구선수 이름표기 바뀝니다 2006/05/31 한겨레
211 법률·세법 알기쉬운 우리말로 바뀐다 2006/05/30 조세일보
210 YTN, `욕야카르타` 표기하기로 2006/05/29 YTN
209 경기도 어려운 행정용어 정비키로 2006/05/25 연합뉴스
208 충북 일제시대 지명 16곳 교체 2006/05/22 국민일보
207 `어문정책 일원화` 국립국어원 위상 높아진다 2006/05/19 프레시안
206 대한 민국→대한민국 하교길→하굣길 2006/05/19 서울신문
205 교과서 `표준국어대사전' 따른다 2006/05/18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