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4479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좋은 사람 소개시켜줘? 소개해줘!

신문·방송 우리말 길라잡이 영화제목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줘〉, ‘허황된 장밋빛 공약’(ㅈ일보) ‘낙후된 동계 스포츠 수준’(ㅅ일보) 같은 신문 글귀,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겠습니다”라는 기상 캐스터의 말은 크게 거슬리지 않는다. 그러나 모두 틀렸다. ‘소개시켜줘’는 ‘소개해줘’로, ‘허황된’ ‘낙후된’은 ‘허황한’ ‘낙후한’으로, ‘전국적으로’는 ‘전국에’나 ‘전국에 걸쳐’로 바꿔야 한다.

이 책은 〈한겨레〉가 2000년 5월부터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란 문패로 연재하고 있는 우리말과 글에 관한 짧은 글 가운데 324가지를 모았다.

우리말을 잘못 쓴 사례로 책이 인용하는 대상은 신문을 비롯해, 방송인과 정치인의 말,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헌법전문까지 포괄한다.(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건립한’) 일본 말, 미국 말을 흉내낸 어색한 표현의 목록엔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도 들어 있다.(‘한 필의 당나귀’→‘당나귀 한 필’) 우리말이 너무 어려워 기죽지 않을까 우려할 수도 있겠지만 책은 원리원칙을 쉽게 풀어놓았다. 또 ‘되다’는 수동태식 표현을 자꾸 쓰고, ‘…여부’ ‘…내지’ 등 없어도 되는 말을 꼭 집어넣는 버릇을 세게 나무란다.

잘못된 언어 습관의 숨겨진 의도를 짚는 부분은 재미와 통쾌감을 주기도 한다. “○○당에 공개적으로 묻고 싶다”처럼 질문하고 있으면서 ‘묻고 싶다’고 말하는 정치인들이 대표적인 예다. “이는 ‘묻는다’로 바꿔 써야 옳다. … 나중에 ‘묻고 싶다’고 했지 ‘실제로 물은 게 아니다’라고 발뺌하려는 게 아니라면 말이다.” 뒤로 가면서 남북한 말의 비교, 신생어·합성어의 사전 수록 기준 같은 좀더 전문적인 논의도 다루고 있다.

2004/08/20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19 ‘뒷구멍으로 호박씨 까다’의 유래는? 2004/11/05 주간동아
218 ‘한글정신’ 100여쪽에 간결·알차게 담아 2004/10/10 한겨레
217 우리말 ‘얼레리 꼴레리’의 유래는? 2004/10/09 중앙일보
216 <재미나는 우리 토박이말을 찾아서> 2004/10/05 연합뉴스
215 연세대 판본 `원본대조 윤동주 전집` 발간 2004/09/14 연합뉴스
214 메밀꽃 필 무렵 6개 국어로 번역출간 2004/09/13 강원일보
213 「고려사절요」 38년만에 신체제 완역본 2004/09/07 연합뉴스
212 `강원전통문화서` 출간 2004/08/31 강원일보
211 이오덕씨 유고집 `우리말 살려쓰기` 출간 2004/08/24 한국일보
210 좋은 사람 소개시켜줘? 소개해줘! 2004/08/20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