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께서 가시가 송송 `돋힌` 청미래덩굴의 새순을 꺾는다. 그것도 나물로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본격적인 황사철을 맞아 백화점과 할인점에서 공기청정기가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다."
위의 예문에서 보듯이 `돋힌`과 `돋친`은 비슷한 빈도로 쓰이고 있어 둘 다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돋힌`은 바르지 않은 말이며 `돋친`으로 쓰는 게 옳다.
왜 그런지 알아보자.
타동사에 `-이-` `-히-` `-리-` `-기-`와 같은 접미사를 붙이면 피동 표현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꽃을 보다"가 "꽃이 보이다"로, "토끼를 잡다"가 "토끼가 잡히다"로, "노래를 듣다"가 "노래가 들리다"로, "실을 끊다"가 "실이 끊기다"로 바뀐다.
`돋힌`이 맞다고 생각하는 것은 이러한 피동 표현 중 하나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돋다`는 타동사가 아니라 `-이 돋다`의 형태로 쓰이는 자동사이므로 접미사 `-히-`를 붙여 피동으로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돋힌`으로 쓰면 안 된다.
그러면 `돋다`에서 활용해 `가시 돋은 청미래덩굴의 새순`처럼 써야 할 터인데 왜 `돋친`으로 썼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겠다.
`돋치다`는 `돋다`에 강조를 뜻하는 접미사 `-치-`가 붙은 것이다. 그래서 `가시 돋은`보다는 `가시 돋친`의 어감이 더 강하다. 이처럼 `치`가 붙은 강세어로는 `넘치다(넘다) ,밀치다(밀다), 부딪치다(부딪다), 밭치다(밭다)` 등을 더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