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6322244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시사정보
우리말 바루기 272 - 돋히다 / 돋치다

"어머니께서 가시가 송송 `돋힌` 청미래덩굴의 새순을 꺾는다. 그것도 나물로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본격적인 황사철을 맞아 백화점과 할인점에서 공기청정기가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다."

위의 예문에서 보듯이 `돋힌`과 `돋친`은 비슷한 빈도로 쓰이고 있어 둘 다 맞는 말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돋힌`은 바르지 않은 말이며 `돋친`으로 쓰는 게 옳다.

왜 그런지 알아보자.

타동사에 `-이-` `-히-` `-리-` `-기-`와 같은 접미사를 붙이면 피동 표현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꽃을 보다"가 "꽃이 보이다"로, "토끼를 잡다"가 "토끼가 잡히다"로, "노래를 듣다"가 "노래가 들리다"로, "실을 끊다"가 "실이 끊기다"로 바뀐다.

`돋힌`이 맞다고 생각하는 것은 이러한 피동 표현 중 하나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돋다`는 타동사가 아니라 `-이 돋다`의 형태로 쓰이는 자동사이므로 접미사 `-히-`를 붙여 피동으로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돋힌`으로 쓰면 안 된다.

그러면 `돋다`에서 활용해 `가시 돋은 청미래덩굴의 새순`처럼 써야 할 터인데 왜 `돋친`으로 썼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겠다.

`돋치다`는 `돋다`에 강조를 뜻하는 접미사 `-치-`가 붙은 것이다. 그래서 `가시 돋은`보다는 `가시 돋친`의 어감이 더 강하다. 이처럼 `치`가 붙은 강세어로는 `넘치다(넘다) ,밀치다(밀다), 부딪치다(부딪다), 밭치다(밭다)` 등을 더 들 수 있다.

2004/04/13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7932 [우리말 바루기] 무안공항 참사? 제주항공 참사? 2024/1/6 중앙일보
17931 우리말 산책-자리는 같지만 결이 다른 `수반`과 `수괴` 2024/1/6 경향신문
17930 최태호의 맛있는 우리말 [378] `늘이다`와 `늘리다` 2024/1/6 스카이데일리
17929 최태호의 맛있는 우리말 [377] `귀때기`와 `귀싸대기` 2025/1/3 스카이데일리
17928 달곰한 우리말-걸음이 길을 만든다 2025/1/2 한국일보
17927 [우리말 바루기] 을사년 2025/1/2 중앙일보
17926 [우리말로 깨닫다] 을씨년스러운 새해 2025/1/2 재외동포신문
17925 최태호의 맛있는 우리말 [376] `5연패` 이야기 2025/1/2 스카이데일리
17924 [우리말 바루기] 이 자리를 빌어(?) 2025/1/2 미주중앙일보
17923 [K-VIBE] 강성곤의 아름다운 우리말…잘못 쓰고 있는 표현-⑤ 2024/12/31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