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4401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재미나는 우리 토박이말을 찾아서>

신랑 신부가 맞는 첫날 밤의 잠을 우리 토박이말로 무엇이라고 할까. 듣기만 해도 고운 `꽃잠`이라고 한다.

불안 때문에 깊이 들지 못하는 잠은 `사로잠`, 외양만 차리고 실속이 없는 사람 은 `어정잡이`, 못된 짓을 하며 마구 돌아다니는 사람은 `발김쟁이`라고 부른다.

또 조금도 빈틈이 없이 야무진 사람은 `모도리`, 제멋대로 쏘다니는 계집아이는 `뺄때추니`, 여러 남자와 잠자리를 같이 하는 여자는 `계명워리`라고 한다.

`강다짐`은 국이나 물없이 먹는 밥, `매나니`는 반찬없이 먹는 밥, `다모토리` 는 소주를 대포로 파는 집, `풋바심`은 덜 익은 벼나 보리를 지레 베어떨거나 훑는 일을 뜻한다.

의식주나 생활도구 등 사람의 세상살이나 자연환경에 깃든 우리 순수 토박이말 4천793가지 어휘와 그 뜻을 풀이한 `재미나는 우리말 도사리`(하늘연못刊)가 출간됐다.

책은 `생활속으로`, `세상속으로`, `자연속으로`, `사람속으로`, `언어속으로` 등 모두 5개 부문으로 나누어 이제껏 모르기에 올바로 써보지 못한 생소한 토박이말 들을 친근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의 제목에 쓰인 `도사리`는 익거나 자라는 도중에 바람이나 병 때문에 떨 어진 열매나 과실, 혹은 못자리에 난 어린 잡풀을 가리키는 순우리말이다.

저자 장승욱씨는 연대 국어국문학과를 나와 언론사에서 기자로 일하다 지금은 이런저런 글을 쓰며 살고 있다. 산문집 `경마장에 없는 말들`, `토박이말 일곱 마당` , `국어사전을 베고 잠들다` 등을 펴냈고, 2003년 한글문화연대 선정 제1회 우리말 글작가상을 수상했다.

529쪽. 1만5천원.

2004/10/05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19 ‘뒷구멍으로 호박씨 까다’의 유래는? 2004/11/05 주간동아
218 ‘한글정신’ 100여쪽에 간결·알차게 담아 2004/10/10 한겨레
217 우리말 ‘얼레리 꼴레리’의 유래는? 2004/10/09 중앙일보
216 <재미나는 우리 토박이말을 찾아서> 2004/10/05 연합뉴스
215 연세대 판본 `원본대조 윤동주 전집` 발간 2004/09/14 연합뉴스
214 메밀꽃 필 무렵 6개 국어로 번역출간 2004/09/13 강원일보
213 「고려사절요」 38년만에 신체제 완역본 2004/09/07 연합뉴스
212 `강원전통문화서` 출간 2004/08/31 강원일보
211 이오덕씨 유고집 `우리말 살려쓰기` 출간 2004/08/24 한국일보
210 좋은 사람 소개시켜줘? 소개해줘! 2004/08/20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