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6180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신간] 뜻도 모르고 자주쓰는 우리 한자어사전

뜻도 모르고 자주쓰는 우리 한자어사전이재운, 조규천 편저'기린아'(麒麟兒), 기린아 하는데 '기린아'와 아프리카의 목이 긴 '기린'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우리가 흔히 쓰는 '자린고비'나 '등용문', '금자탑'의 어원은 무엇일까? 은행은 직접 현금을 다루는 기관인데도 왜 '금행'이라고 쓰지 않고 '은행'이라고 표현했을까?아마도 위와 같은 의문을 가져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말인데도 국어사전이나 한자 자전의 뜻풀이를 아무리 살펴봐도 본뜻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고 설령 의미가 나와 있다 하더라도 글자의 풀이에 열중할 뿐 그 말이 생기게 된 배경이나 어떻게 현재의 뜻으로 정착되었는지를 알아보기에는 부족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막연히 '이 단어는 이런 뜻일 것이다'라는 생각으로 사용해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경우도 있으며 정확한 어휘를 사용하지 못해 무지한 사람 취급을 받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 책은 이러한 독자들의 고민을 속 시원히 해결해줄 것이다.

이 책은 한자어의 생성과정 및 뜻풀이, 그리고 현재의 의미로 바뀌어 쓰이게 된 역사적 배경까지 아울렀다.

그래서 이 책을 한 번 읽고 나면 지금까지 그 의미가 모호했던 우리 한자어가 생생하게 살아 독자들에게 전달된다.

2005/03/21 업코리아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89 경상도 우리탯말 2006/10/28 매일신문
288 [독서로 논술잡기]`대한민국은 받아쓰기 중` 2006/10/21 동아일보
287 <사람들> `경상도 탯말` 출간 경상도 사람들 2006/10/17 연합뉴스
286 [책]간추린 우리말 바로쓰기 2006/10/13 세계일보
285 세계가 감탄한 기록문화의 우수성 2006/10/12 한겨레
284 <한글날 읽는 `나만 모르는 우리말`> 2006/10/09 연합뉴스
28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종이사전` 안낸다 2006/10/09 경향신문
282 `변화무쌍` 한글, 세종대왕도 몰랐을걸요 2006/10/08 한겨레
281 외국인.동포대상 한국어 읽기.말하기 교재 출간 2006/09/29 연합뉴스
280 한글이 어려운게 아니네 `초정리 편지` 2006/09/29 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