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957431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언어, 사회 현상
영어가 뭐길래
몇 년 전 이런 영어 학습지 광고가 있었다. 한 엄마가 나와 “영어만 잘하면 무슨 걱정이 있겠어요”라고 말한다.
아무리 광고라지만 영어만 잘하면 무슨 걱정이 있겠냐니, 그 단순함에 놀란 적이 있는데 조기 유학을 생각하는 부모 중엔 이런 사람들이 실제로 있는 것 같다.
친지중 한 사람이 초등학교 5학년짜리 딸아이를 미국으로 보내고 싶다며 의논을 해 왔다.
왜 그렇게 빨리 보내고 싶어하느냐고 묻자, 중학교 때 보내면 영어를 미국사람처럼 할 수 없기 때문이란다.
왜 영어를 미국사람처럼 해야 하느냐고 묻자 대답을 못한다.
미국서 초등학교 6학년과 중1, 2년을 보낸 큰 애를 3년 전 귀국할 때 함께 데려왔더니 왜 놓고 오지 않았느냐고 묻는 사람들이 참 많았다.
그냥 거기서 학업을 이어가게 하면 좋지 않느냐는 것이다. 그 애를 데리고 온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우선 엄청난 사립학교 학비를 몇 년씩 댈 형편이 못 되었기도 했지만 미국에 있으면서 한국인의 경쟁력은 역시 한국어에 있다는 진리를 뼈저리게 느꼈기 때문이다.
미국 회사가 영어 잘하는 자기네 사람 놓아두고 한국인을 고용할 때는 그가 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정통하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그게 아니라면 굳이 한국인을 고용할 필요가 없다.
미국의 어느 큰 병원에 돈 많은 한국인 할머니가 입원했는데 영어를 전혀 못하는 할머니를 위해 한국교포 의사를 특별 배치했다.
그런데 그 의사의 한국어는 엄마 밥 줘, 이거 뭐야, 거의 유치원생 수준이었다.
당연히 할머니의 복잡한 요구사항은 전달되지 않았고, 병원으로부터 눈총을 받은 그 의사는 이렇게 말하며 울었다고 한다.
“우리 엄마가 나 한국말 잘한다고 했단 말이야.…”
미국 동포로부터 직접 들은 이 이야기는 한국어 능력을 둘러싼 이들의 고민을 잘 말해준다. 아무리 공부를 잘해 하버드대를 나와도 미국 주류사회에 합류하기는 너무 힘들고, 한국인들을 상대로 사업하려니 한국말이 딸리고…
한국에 돌아와 중3이 된 큰 애는 한동안 선생님의 말씀을 못 알아들어 애를 먹었다. 한자어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고급 한국어가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 시절에 거의 완성되는 것을 생각하면 그 애의 반 토막 한국어 실력을 이해할 수 있었다.
한국사회를 온통 소용돌이로 몰아넣고 있는 최규선 스캔들을 보며 엉뚱하게 그가 초등학교 때 한국을 떠난 조기유학 출신이라면 저런 영향력을 키울 수 있었을까 생각해 본다.
‘한국어보다 더 잘한다는 영어’ 못지않게 ‘영어만큼 잘하는 한국어’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2002/05/09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29
`겸둥이` `겸디` `내꼬` 등 애인호칭 `입맛따라`
2002/05/24
굿데이
228
中 하얼빈 서점가에도 월드컵 열풍
2002/05/21
연합뉴스
227
버스노선 외국어 표기 엉터리
2002/05/16
국민일보
226
농약이름 외래어 표기 일색…농민들 혼란 가중
2002/05/14
국민일보
225
팝은 문법을 파괴하는 예술
2002/05/10
굿데이
224
당나라식 한자교육
2002/05/10
한국경제
223
영어가 뭐길래
2002/05/09
한국일보
222
“컴퓨터 한자사전 너무 믿지 마세요”
2002/05/08
미디어오늘
221
서울 초·중·고 1만2,000명 문맹
2002/05/05
한국일보
220
"GGST에서 만나자" 특정거리·상호 은어 유행
2002/05/06
스포츠투데이
제목
◀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
388/410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