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3005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한국어와 한국문화’펴낸 천소영씨

“‘예쁘다’의 중세어 ‘어엿브다’는 불쌍하고 가련하다는 뜻이지요. 이것이 지금처럼 아름답다는 의미로 변한 저변에는 약자 편에 서서 공감하는 우리 민족의 심성이 깔려 있습니다.”

어원 연구에 천착해온 천소영 수원대 교수가 ‘한국어와 한국문화’(우리책)를 펴냈다. 천 교수는 이 책에서 우리말의 뿌리를 캐내면서 그 속에 담긴 우리 삶의 모습과 의식구조를 탐구하고 있다. 특히 음식과 의상,놀이,욕설 등 온갖 일상어의 유래를 자세히 밝히면서 우리말의 가치를 되새긴다. 이를테면 막걸리는 ‘마구 걸러낸 것’이고,바보는 ‘밥(飯)+보(인칭 접미사)’로 아무 일도 못하고 밥만 축내는 사람을 일컫는다.

“우리말은 ‘눈빛과 기침의 언어’입니다. 예로부터 한국인은 자신의 의사를 소리높여 말하기보다 표정이나 몸짓으로 넌지시 드러냈다는 뜻이지요. 하지만 서구화 등으로 이런 언어 전통은 크게 달라져 휴대전화를 든 현대인들은 주변에 대한 배려없이 큰소리로 통화에만 몰두하는 일이 많지 않습니까. ‘얼짱’ ‘왕따’ ‘쪽팔리다’ ‘싸가지없다’ 등 예전에는 거의 없던 된소리도 부쩍 늘었습니다. 거칠어진 사회 탓에 우리말의 부드러움을 잃어가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2005/03/30  국민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79 아단문고, 최초 월간지 `소년` 등 141권 전시 2006/09/28 한국일보
278 한글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펴낸 한글 2006/09/28 국민일보
277 남북 소통 위한 값진 결실 `남북통일말사전` 2006/09/27 연합뉴스
276 `동의보감` 세계적 브랜드화 추진 2006/09/26 머니투데이
275 남북 문법 대조하며 `통일` 시도 2006/09/15 한겨레
274 우리말 쓰기 강조하던 이오덕의 삶 2006/09/11 내일신문
273 [인문사회] 국어 실력이 밥 먹여준다 낱말편 1 2006/09/02 동아일보
272 북한에서 온 우리 옛이야기 - 겨레고전문학선집 2006/08/17 대전일보
271 한국국학진흥원, 일제시대 필사본 한글 동화집 발간 2006/08/16 매일신문
270 중고등학교 `권장도서` 정말 권장할 만한가요? 2006/08/10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