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쁘다’의 중세어 ‘어엿브다’는 불쌍하고 가련하다는 뜻이지요. 이것이 지금처럼 아름답다는 의미로 변한 저변에는 약자 편에 서서 공감하는 우리 민족의 심성이 깔려 있습니다.”
어원 연구에 천착해온 천소영 수원대 교수가 ‘한국어와 한국문화’(우리책)를 펴냈다. 천 교수는 이 책에서 우리말의 뿌리를 캐내면서 그 속에 담긴 우리 삶의 모습과 의식구조를 탐구하고 있다. 특히 음식과 의상,놀이,욕설 등 온갖 일상어의 유래를 자세히 밝히면서 우리말의 가치를 되새긴다. 이를테면 막걸리는 ‘마구 걸러낸 것’이고,바보는 ‘밥(飯)+보(인칭 접미사)’로 아무 일도 못하고 밥만 축내는 사람을 일컫는다.
“우리말은 ‘눈빛과 기침의 언어’입니다. 예로부터 한국인은 자신의 의사를 소리높여 말하기보다 표정이나 몸짓으로 넌지시 드러냈다는 뜻이지요. 하지만 서구화 등으로 이런 언어 전통은 크게 달라져 휴대전화를 든 현대인들은 주변에 대한 배려없이 큰소리로 통화에만 몰두하는 일이 많지 않습니까. ‘얼짱’ ‘왕따’ ‘쪽팔리다’ ‘싸가지없다’ 등 예전에는 거의 없던 된소리도 부쩍 늘었습니다. 거칠어진 사회 탓에 우리말의 부드러움을 잃어가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