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63170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고교교과서 한자 곳곳 엉터리

“교과서에 나오는 한자 다 믿지 마세요.”

고등학교 교과서 곳곳에 잘못된 한자 표기와 번역이 넘쳐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2002년부터 사용된 19종 38권의 국어·문학 교과서를 분석한 성균관대 강사 장호성 박사의 논문 ‘한문자료의 오류문제’에서 밝혀졌다.

장 박사는 논문을 통해 교과서에 잘못 쓰이거나 해석된 한자의 유형을 ▲원전에서 인용할 때의 실수 ▲한자를 함께 기록할 때 생기는 오류 ▲자구 풀이에서의 실수 ▲번역의 문제 등 크게 4가지로 나눴다.

원전 인용에서의 잘못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비슷한 글자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는데 원인이 있다. 의관(衣冠)을 ‘依’冠으로, 교지(敎旨)를 ‘校’旨로 쓴 것 등 사례는 너무 많을 정도다.

한자를 한글과 함께 쓸 때 오기가 나는 현상도 심각했다. 국어사전을 찾아보기만 해도 되는 수준도 있었고 그 이상을 넘어가는 글자도 있었다. 이는 특히 판소리 등 고전 문학을 인용하면서 두드러진 현상이다. 웃어른의 안부를 묻는 문후(問候)의 후자를 ‘後’로, 수많은 장부로도 못 당하는 힘이라는 萬夫不當之力의 ‘當’자를 黨으로 표기하는 등의 실수가 눈에 띄었다.

자구풀이와 번역에서의 잘못은 문제가 더 심각하다. 단어의 오기는 미처 챙기지 못해서, 혹은 인쇄상의 실수 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자구풀이와 번역에서의 잘못은 교과서 집필의 자격조차 의심하게 하기 때문이다. 처량하고 한스러움을 이기지 못한다는 ‘불승청원(不勝淸怨)’에서 淸을 ‘맑다.’라고 해석해 ‘맑은 원한을 이기지 못한다.’는 식으로 한눈에 봐도 자연스럽지 못하고 어색한 문장을 해석으로 버젓이 내밀고 있다.

장 박사는 이런 한자 관련 오류가 많은 원인으로 ▲기본적으로 한자·한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원전이 아닌 2·3차 자료를 쓰다 보니 한번 잘못 쓰여진 한자가 계속해서 잘못 쓰여지게 됐다고 분석했다.

2005/04/08 서울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99 한불사전 29년만에 전면 개정 2007/02/02 한겨레
298 외솔 최현배 시조집 출간 2007/02/02 연합뉴스
297 교통방송 아나운서들 `우리말…` 발간 2007/01/17 문화일보
296 우리 말 `억지춘향` 그 유래는 무얼까 2007/01/11 헤럴드경제
295 `속담 대사전` 나왔다 2006/12/11 한겨레
294 속담이 진담이네…정종진교수 `속담사전` 출간 2006/11/30 동아일보
293 `짜장` 구수한 우리말, `라온` 맘으로 공부해요 2006/11/19 한겨레
292 [어린이 책]`고운 우리말 100가지` 2006/11/11 동아일보
291 `광대등걸` `조쌀하다`? 2006/11/06 조선일보
290 오지기 맞았나?, 억수로 맞았나? 2006/10/29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