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교과서 곳곳에 잘못된 한자 표기와 번역이 넘쳐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2002년부터 사용된 19종 38권의 국어·문학 교과서를 분석한 성균관대 강사 장호성 박사의 논문 ‘한문자료의 오류문제’에서 밝혀졌다.
장 박사는 논문을 통해 교과서에 잘못 쓰이거나 해석된 한자의 유형을 ▲원전에서 인용할 때의 실수 ▲한자를 함께 기록할 때 생기는 오류 ▲자구 풀이에서의 실수 ▲번역의 문제 등 크게 4가지로 나눴다.
원전 인용에서의 잘못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비슷한 글자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는데 원인이 있다. 의관(衣冠)을 ‘依’冠으로, 교지(敎旨)를 ‘校’旨로 쓴 것 등 사례는 너무 많을 정도다.
한자를 한글과 함께 쓸 때 오기가 나는 현상도 심각했다. 국어사전을 찾아보기만 해도 되는 수준도 있었고 그 이상을 넘어가는 글자도 있었다. 이는 특히 판소리 등 고전 문학을 인용하면서 두드러진 현상이다. 웃어른의 안부를 묻는 문후(問候)의 후자를 ‘後’로, 수많은 장부로도 못 당하는 힘이라는 萬夫不當之力의 ‘當’자를 黨으로 표기하는 등의 실수가 눈에 띄었다.
자구풀이와 번역에서의 잘못은 문제가 더 심각하다. 단어의 오기는 미처 챙기지 못해서, 혹은 인쇄상의 실수 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자구풀이와 번역에서의 잘못은 교과서 집필의 자격조차 의심하게 하기 때문이다. 처량하고 한스러움을 이기지 못한다는 ‘불승청원(不勝淸怨)’에서 淸을 ‘맑다.’라고 해석해 ‘맑은 원한을 이기지 못한다.’는 식으로 한눈에 봐도 자연스럽지 못하고 어색한 문장을 해석으로 버젓이 내밀고 있다.
장 박사는 이런 한자 관련 오류가 많은 원인으로 ▲기본적으로 한자·한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원전이 아닌 2·3차 자료를 쓰다 보니 한번 잘못 쓰여진 한자가 계속해서 잘못 쓰여지게 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