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61137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이 정도는 알아야 좋은 글 바른 글 쓴다

아래에서 틀린 문장을 고르시오.

① 물을 길러 산길을 내려갔다 ② 그땐 그럴 수 밖에 없었다 ③ 빠르면 다음주 추가 파병이 예상된다 ④ 라면이 불기 전에 다녀오려고 서둘렀다. 중앙일보 어문연구소가 본지에 2003년 3월부터 2년여 동안 모두 442회 연재한 '우리말 바루기'시리즈가 책으로 나왔다. 모두 세 권 출간 예정으로 이번이 첫 책이다. '우리말 바루기' 시리즈는 문화관광부 장관이 주는 16회 한국어문상 대상을 받았다.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하는 예문을 통해 우리말을 풀어 설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책은 틀린 문장만 집어내지 않는다. 보다 좋은 우리말을 쓰는 요령도 곁들인다. 이를테면 '좁혀지다' '여겨지다'처럼 피동형은 좋은 문장이 아니므로 되도록이면 능동형을 쓰는 게 옳다고 안내한다. 또 '회담을 가지다' '효력을 가진다'에서 '가지다'는 'have'를 옮긴 영어식 표현이므로 각각 '열다'와 '있다'로 바꾸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판이하게 다르다''결실을 맺다' '피해를 입다'등은 겹말의 예다. 한자어에 이미 뜻이 들어 있는데 우리말을 겹쳐 쓴 것으로 모두 틀린 표현이다.

늘 책상에 두고 글을 쓰다가 턱 하니 막힐 때 꺼내보면 딱 좋다. 학생들 국어 공부에도 제격이고. 참, 맨 위의 문장들은 모두 틀렸다. 모두 맞혔다면 상당한 실력이다. 상세한 설명은 책을 참고하시길.

한국어가 있다 1/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커뮤니케이션북스, 300쪽, 9800원

2005/04/09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19 ‘뒷구멍으로 호박씨 까다’의 유래는? 2004/11/05 주간동아
218 ‘한글정신’ 100여쪽에 간결·알차게 담아 2004/10/10 한겨레
217 우리말 ‘얼레리 꼴레리’의 유래는? 2004/10/09 중앙일보
216 <재미나는 우리 토박이말을 찾아서> 2004/10/05 연합뉴스
215 연세대 판본 `원본대조 윤동주 전집` 발간 2004/09/14 연합뉴스
214 메밀꽃 필 무렵 6개 국어로 번역출간 2004/09/13 강원일보
213 「고려사절요」 38년만에 신체제 완역본 2004/09/07 연합뉴스
212 `강원전통문화서` 출간 2004/08/31 강원일보
211 이오덕씨 유고집 `우리말 살려쓰기` 출간 2004/08/24 한국일보
210 좋은 사람 소개시켜줘? 소개해줘! 2004/08/20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