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60241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300자 책읽기>`한국말 잘쓰기` 가이드북

(::헷갈리는 말 가려서 써야 뜻이 통한다/임창호 지음/차송::)
‘나라말씀’을 잘 쓰는 일은 스스로의 품격을 높이는 일이다. 사람의 품격은 쓸 말과 안 쓸 말을 잘 가려 사용하는 데서 나오 는 것은 불문가지의 사실. 오랫동안 일간지 교열부장으로 일했던 저자가 자신의 전공에 맞춰 한국어를 잘 쓸 수 있는 가이드북을 펴냈다. 특히 책은 일상생활에서 잘 헷갈리는 글을 서로 비교하 고 있다는 점에서 곁에 두고 오래 참고할 수 있게 꾸몄다.

‘지그시’와 ‘지긋이’는 어떻게 다르고 어떤 때 써야하는가.

또 ‘찜찜하다’와 ‘찝찔하다’, ‘찝찝하다’는 서로 어떻게 다른가. 슬며시 힘을 주는 것은 ‘지그시’이고, 듬직하거나 참 을성 있는 모습은 ‘지긋이’라고 한다. 꺼림칙한 것은 ‘찜찜하 다’이고 일이 되어가는 꼴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찝질하다’ 라고 한다. 물론 짠 것을 ‘찝찝하다’라고 하지만 마음에 뭔가 걸 리는 게 있을 때도 ‘찝찝하다’라고 말한다. 가나다 순으로 되 어 있어 찾기 쉽다는 점도 장점.

2005/04/15 문화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79 아단문고, 최초 월간지 `소년` 등 141권 전시 2006/09/28 한국일보
278 한글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펴낸 한글 2006/09/28 국민일보
277 남북 소통 위한 값진 결실 `남북통일말사전` 2006/09/27 연합뉴스
276 `동의보감` 세계적 브랜드화 추진 2006/09/26 머니투데이
275 남북 문법 대조하며 `통일` 시도 2006/09/15 한겨레
274 우리말 쓰기 강조하던 이오덕의 삶 2006/09/11 내일신문
273 [인문사회] 국어 실력이 밥 먹여준다 낱말편 1 2006/09/02 동아일보
272 북한에서 온 우리 옛이야기 - 겨레고전문학선집 2006/08/17 대전일보
271 한국국학진흥원, 일제시대 필사본 한글 동화집 발간 2006/08/16 매일신문
270 중고등학교 `권장도서` 정말 권장할 만한가요? 2006/08/10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