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5590009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언어, 사회 현상
지금 사용언어 옛사람들과 통할 수 있나
우리가 쓰는 말은 예로부터 어떻게 변해왔나요. 지금 쓰는 말로 신라 고려, 조선시대 사람들과 통할 수 있을까요.
/김정원ㆍ부산 남구 감만2동
☞ 우리말(구어)이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난 후입니다. 따라서 그 이전의 말은 어떤 형태였는지 주로 신라 향가나 삼국사기,삼국유사, 중국 문헌 등을 연구해 지명, 인명 등의 단어로만 추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남북한 국어학자들은 대개 삼국시대 이후의 말은 현대어와 어순, 단어 등이 비슷했을 것이라고 추정하나 이기문 서울대 교수는 소수설로 고구려,백제 언어는 신라와 달랐고 오히려 일본어와 비슷했을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과연 신라인들이 현대인을 만나면 통역없이 말이 통할까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아마 단어가 달라 국어사를 전공한 학자가 통역해야 하지 않을 까요.
국립국어연구원 정희창 연구원은 "훈민정음 창제 후인 중세국어를 쓰는 조선시대 사람이면 단어와 문체가 달라 약간의 어려움은 있겠지만 통역이 없어도 되지 않겠느냐"고 추정했습니다.
정 연구원은 중세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가 현대 국어에서 각 지역별로 존재하는 방언의 차이보다 약간 더 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000/12/12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510
남편의 동생 부를 때
2004/05/06
동아일보
509
北, 식물에도 듣기 좋은 이름 붙여
2004/04/18
연합뉴스
508
키워드는 열쇳말보다 알짜말
2004/04/18
한겨레신문
507
‘남편’ 지칭어
2004/03/04
동아일보
506
사투리도 당당한 문화유산이다
2004/02/28
경향신문
505
땅이름/마식령·청주
2004/02/04
한겨레신문
504
당신도 인터넷 외계인?
2003/12/18
일간스포츠
503
`반갑습しıて℉`... `외계 한국어?`
2003/11/27
업코리아
502
우리혼 죽이기 - 그래야 세계 일류
2004/05/03
한겨레
501
쇼핑호스트와 쇼호스트
2004/04/28
주간한국
제목
◀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
360/410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