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53035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한글날 공휴일로 지정하자

한글날(10월 9일)이 불과 한달 여 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올해 한글날은 그 어느 해보다 의미있는 훈민정음 반포 560돌을 맞이하는 뜻 깊은 날이다. 그런 가운데 지난해 12월 한글날을 국경일로 승격시키는 법률이 국회 여야 합의로 통과돼 정식으로 국경일이 되는 영광을 안았다.

하지만 한글날이 국경일로는 제정되었지만 아쉽지만 아직은 공휴일은 아니다. 공휴일 지정은 또 다시 대통령령으로 정하게 되어 있어 국경일로 만족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국경일로 지정된 날은 3ㆍ1절(3월 1일), 제헌절(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그리고 한글날(10월 9일)로 모두 5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4개 국경일은 공휴일이지만 한글날만은 공휴일이 아니다. 그런가하면 석가탄신일과 성탄절은 국경일은 아니지만 공휴일이다. 이러하니 일부 국민들이 국경일과 공휴일에 관해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바라건대 한글날도 다른 국경일과 함께 공휴일로 지정되었으면 한다.

직장인으로서 하루를 쉰다는 것보다 한글의 우수성이 워낙 압도하고 있고, 이를 국민 모두가 한글날을 기해 제대로 기리자는 의미에서다. 한글은 자타가 공인하고 있는 세계적 언어임에는 틀림없다고 본다. 이 지구상에 수 많은 나라가 있지만 자기 나라말과 글이 없어 남의 말과 글을 사용하며 설움을 겪고 있는 나라와 민족이 많은 것이다. 이는 우리가 일제 통치를 받으며 겪어온 사실이다.

세계 각국의 유명 언어학자들이 인정하고 있는 한글을 창제, 사용하고 있는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로서는 행복한 일이다. 나아가 한없이 자랑스럽기만 한 것이다. 게다가 유엔이 인정하고 있는 세계 문화 기록 유산으로까지 당당히 등재돼 있는 것 아닌가. 그리하여 한글로 직ㆍ간접적 국력을 과시하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도 막상 우리 자신은 한글의 귀중함과 소중함을 잊고 살아가는 듯해 안타까울 때가 많다. 온갖 은어, 비어, 속어 등이 난무하고 작금에 들어서는 인터넷을 통해 또 한글 계도에 앞장서 나가야 할 방송 등 언론에서 오히려 한글을 파괴하고 훼손하며 수모를 겪는 사례를 많이 접할 수 있어 안타깝고 서글픔을 더한다.

한글날 공휴일 지정 건에 관하여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는 국가 산업체나 기업체의 경우 공휴일 지정으로 하루 쉼으로 인해 산업에 미치는 폐해를 들고 있지만 단지 그것이 원인이 될 수만은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사용주 입장에서는 하루 일을 하고 또 하루 쉼의 차이로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작금 일부 공기업과 일반 기업체 등에서 벌어지고 있는 노사 의견 불일치로 짧게는 수일에서 길게는 몇 달간을 정상적인 영업을 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 않은가. 이 경우 업체의 손실은 엄청난 것이다.

그럴진대 차라리 이러한 노사간의 의견 불일치를 줄여 잘 경영해 나간다면 하루 쉼으로 인한 경영 손실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다시말해 한글날 단 하루를 공휴일로 지정한다는 것은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본다.

또 올해의 경우는 마침 추석이 끼어 있지만 추석이 9월이나 11월에 끼어 있을 경우 공휴일이 없는 10월, 한글날이 공휴일로 지정된다면 오히려 하루 쉼으로 인해 근로자들에게 재충전의 기회를 주고, 근로의욕을 고취시켜 업체, 나아가 국가 산업의 생산력을 더 향상시켜 나가는 긍정적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무조건적으로 주 5일 운운과 경영 손실만을 내세울 이유가 없는 것이다.

듣기로는 제헌절도 공휴일에서 제외한다는 이야기가 들려오고 있어 씁쓰레함을 금할 수 없다. 국경일의 공휴일 지정 취소보다 국경일의 의미를 되살려 극대화 한다면 공휴일 지정 그 이면의 부정적인 측면의 몇 배 이상의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효과와 국력 신장에 오히려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2006/09/05 국정브리핑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35 한글날 기념우표 발행 2006/10/09 디지털타임스
234 어려운 민법용어 쉬운 한글로 바뀐다 2006/10/08 대전일보
233 [우리말 다듬기]`코드` 순화어 `성향`으로 2006/09/27 동아일보
232 `민법 한글화` 물꼬 텄다 2006/09/13 대전일보
231 [우리말 다듬기]`슬롯머신` 순화어 `성인오락기`로 2006/09/13 동아일보
230 한글날 공휴일로 지정하자 2006/09/05 국정브리핑
229 [우리말 다듬기]`스킨십` 순화어 `피부교감`으로 2006/09/01 동아일보
228 [우리말 다듬기]`핫팬츠`순화어 `한뼘바지`로 결정 2006/08/25 동아일보
227 [우리말 다듬기]`체리 피커` 순화어 `금융얌체족` 2006/08/18 동아일보
226 [우리말 다듬기]`UCC`순화어 `손수제작물`로 결정 2006/08/11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