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95337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도마에 오른 표준어 정책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국어정책은 표준어 사용을 강조해왔지만 이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사투리를 멀리한 결과 지역의 고유언어가 사라지고 국어의 다양성과 생명력이 약화됐다는 주장입니다.

이 문제를 유원중 기자가 생각해봤습니다.

<리포트>

일상에서 듣기 힘든 심한 사투리는 극적 재미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투리를 쓰는 배역은 우스꽝스럽거나 촌스럽고, 무식하거나 깡패 등의 역할을 주로 맡습니다.

<인터뷰> 김수미 (연예인) : "사투리는 그 지역의 문화고 정인데 촌스럽다고 무시하는 거 반대"

김영랑 시인의 '오매 단풍 들것네' 박목월 시인의 '뭐락카노' 등의 시어는 사투리를 훌륭한 문학적 표현으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표준어 강조는 일반인에게 사투리를 쓰는 게 창피한 것처럼 느끼게 하고 결국 지역말을 사라지게 만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투리는 바른말이 아니어서 쓰지 못하도록 몰아내는 식의 표준어 정책은 이제 바뀔 때가 됐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역 언어를 연구하는 모임인 '탯말 연구회'는 지난 5월 현행 표준어 규정이 헌법에서 보장한 행복추구권과 교육권 등을 침해한다며 위헌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표준어를 교양있는 사람이 쓰는 서울말로 규정해 사투리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부할 기회를 빼앗기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인터뷰> 박원석 (탯말연구회 간사) : "사투리 속에는 우리의 정서와 감정이 담겨 있는데 표준어에만 의존하게 한다면 그것을 자유 자재로 표현하기가 힘들고 결국 국어의 손실입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표준어 규정을 없애자는 데는 반대하지만 지금까지의 국어정책이 지나치게 획일적이었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세중 (국립국어원 국어생활부장) : "표준어 정책은 흔들림 없이 나가야 되지만 표준어를 너무 좁게 국한하지 말고 좀 더 풍성하게 널리 쓰이는 어휘를 수용해야..."

지난 70년간 이어져 온 표준어 우선의 국어정책, 언어생활의 통일이 시급히 필요했던 시대도 있었지만 이제는 표준어의 범위를 넓혀 국어의 다양성을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2006/10/09 KBS TV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95 `농약 명칭` 표준화 용어로 개선해 전면 시행 2007/05/04 농촌진흥청
294 국어심의회 `원칙없는 운영` 논란 2007/05/04 전자신문
293 [우리말 다듬기]`로드킬` 순화어 `찻길동물사고` 2007/05/03 동아일보
292 `柳`씨 류씨 표기 `허가` 2007/04/30 대전일보
291 국가기록물 1호 `조선말 큰사전 원고` 2007/04/19 서울신문
290 [우리말 다듬기]`러브라인` 순화어 `사랑구도` 2007/04/18 동아일보
289 [우리말 다듬기]`하드보일드` 순화어 `냉혹기법`으로 결정 2007/04/11 동아일보
288 `적의한→알맞은`…알기쉬운 법령 38건 공포 2007/04/10 국정브리핑
287 국립국어원 국어발전 기본계획 2007/03/30 뉴시스
286 [우리말 다듬기]`웹서핑` 순화어 `누리검색` 2007/03/28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