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194962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정책, 규정
도마에 오른 표준어 정책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국어정책은 표준어 사용을 강조해왔지만 이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사투리를 멀리한 결과 지역의 고유언어가 사라지고 국어의 다양성과 생명력이 약화됐다는 주장입니다.
이 문제를 유원중 기자가 생각해봤습니다.
<리포트>
일상에서 듣기 힘든 심한 사투리는 극적 재미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투리를 쓰는 배역은 우스꽝스럽거나 촌스럽고, 무식하거나 깡패 등의 역할을 주로 맡습니다.
<인터뷰> 김수미 (연예인) : "사투리는 그 지역의 문화고 정인데 촌스럽다고 무시하는 거 반대"
김영랑 시인의 '오매 단풍 들것네' 박목월 시인의 '뭐락카노' 등의 시어는 사투리를 훌륭한 문학적 표현으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표준어 강조는 일반인에게 사투리를 쓰는 게 창피한 것처럼 느끼게 하고 결국 지역말을 사라지게 만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투리는 바른말이 아니어서 쓰지 못하도록 몰아내는 식의 표준어 정책은 이제 바뀔 때가 됐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역 언어를 연구하는 모임인 '탯말 연구회'는 지난 5월 현행 표준어 규정이 헌법에서 보장한 행복추구권과 교육권 등을 침해한다며 위헌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표준어를 교양있는 사람이 쓰는 서울말로 규정해 사투리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부할 기회를 빼앗기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인터뷰> 박원석 (탯말연구회 간사) : "사투리 속에는 우리의 정서와 감정이 담겨 있는데 표준어에만 의존하게 한다면 그것을 자유 자재로 표현하기가 힘들고 결국 국어의 손실입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표준어 규정을 없애자는 데는 반대하지만 지금까지의 국어정책이 지나치게 획일적이었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세중 (국립국어원 국어생활부장) : "표준어 정책은 흔들림 없이 나가야 되지만 표준어를 너무 좁게 국한하지 말고 좀 더 풍성하게 널리 쓰이는 어휘를 수용해야..."
지난 70년간 이어져 온 표준어 우선의 국어정책, 언어생활의 통일이 시급히 필요했던 시대도 있었지만 이제는 표준어의 범위를 넓혀 국어의 다양성을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2006/10/09 KBS TV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65
[우리말 다듬기]`트레이드마크` -> `으뜸상징`으로
2007/01/10
동아일보
264
미술사 용어 쉬운 말로 바뀐다
2007/01/09
서울신문
263
철원 등 강원도 6곳 우리말 이름 붙인다
2007/01/02
한겨레
262
국민에게 친근한 알기쉬운 법령
2006/12/30
국정브리핑
261
액와>겨드랑 의학 용어 쉽게 바뀐다
2006/12/22
뉴시스
260
[우리말 다듬기]`오마주` 순화어 `감동되살이`로
2006/12/20
동아일보
259
`담장`은 `담`이라고 해야
2006/12/18
국정브리핑
258
`북경` →`베이징` 으로 표기해야
2006/12/15
국정브리핑
257
[우리말 다듬기]`SOS` 순화어 `구원요청`으로
2006/12/13
동아일보
256
`적용함에 있어서는→적용할 때는` 법 조문 간결하게
2006/11/28
국정브리핑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6/62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