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052202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서적, 출판
8월 27일 학술 새로 나온 책
위반의 주술, 시와 방언 표준어 중심의 한국 사회의 말글 생활을 비판하면서 ‘방언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는 학술서. 국어학자인 지은이는 시 세계를 통해 서울 중심의 표준어가 밀어내버린 ‘2등 국어’ 방언의 가치를 살핀다. 그가 보기에 방언은 모국어를 더욱 견고하게 쌓아올리는 토대다. 동시에 통일 이후 ‘민족어’ 재구성의 밑거름이기도 하다.
이상규 지음. 경북대출판부/2만2000원.
2005/08/26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39
8월 27일 학술 새로 나온 책
2005/08/26
한겨레
238
한글 태생의 비밀은 ‘음양오행’
2005/08/24
대전일보
237
'윤동주 시어 사전' 출간
2005/08/16
연합뉴스
236
기틀 마련한 ‘겨레말큰사전’
2005/08/16
한겨레
235
소설가 이외수씨 '격외선당 문학연수' 인기
2005/07/18
강원일보
234
강정희 교수, ‘제주방언 형태 변화 연구’ 펴내
2005/07/02
제주일보
233
훈민정음 ‘사라진 두장’ 미스터리 풀려
2005/06/15
동아일보
232
천상병 시인 육필시집
2005/04/27
한겨레
231
정지용 전집-정지용
2005/04/26
동아일보
230
연암의 문학 200년 만에 되살아나다
2005/04/16
중앙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9/62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