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6840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보라매`등 우리말의 기원

(::…자주 쓰는 우리말 나이사전 / 박숙회·유동숙 편저/책이 있 는 마을::)
우리말 ‘보라’의 기원은 어디일까. 누구나 쓰는 말이지만 이 말이 어디서 어떻게 유래됐는지를 알기는 쉽지 않다. 책은 우리 말의 기원과 유래과정을 찾아가는 흥미로운 저작이다.

‘보라’의 나이는 약 774살이나 됐다. 고려 1231년에 생겨난 말이다. 몽골의 지배를 받던 고려시대 몽골풍습으로 매사냥이 유행했는데 당시 보라매가 인기였단다. 그 보라매의 앞가슴에 난 털이 보랏빛이고 이 매를 몽골어로 ‘보로(boro)’라 불렀단다. 그러면 ‘심상(尋常)치 않다’의 ‘심상’은 어디서 나온 말일까.

‘심상’의 나이는 약 2291살이나 됐다. 심은 8자 길이며 상은 16자를 뜻한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제후들이 한 평 남짓하는 ‘ 심상의 땅’을 가지고 다투었다. 이런 보잘 것 없는 것이지만 심히 다투는 것을 심상치 않다고 한다.

책은 고조선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역사의 각 시기별로 등장하는 우리말의 기원과 유래를 적고 있다.

2005/09/30  문화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19 표준협회, `남북 산업표준 용어 비교집` 발간 2007/09/11 프라임경제
318 <책> 자주 틀리는 방송 말 모은 `방송화법` 2007/09/07 연합뉴스
317 유래를 알면 헷갈리지 않는 `우리말 뉘앙스 사전` 2007/08/16 뉴시스
316 [한국문학세상] 전용태씨 `한국어의 모든 것, 실용 문법 편` 펴내 화제 2007/08/01 연합뉴스 보도자료
315 <다채로운 한국어의 풍경> 2007/07/24 연합뉴스
314 순한글 여성시집 `기각한필` 첫 발견 2007/06/28 세계일보
313 상처받은 우리말·글 나으라고 쓰디쓴 약 한 첩 달여놓고… 2007/06/06 한국일보
312 [단독]이율곡 `동거계사`한글 필사본 발견 2007/04/12 세계일보
311 `영랑` 시어의식 변천 한눈에 2007/04/09 한겨레
310 [책]국어생활백서―틀리기 쉬운 우리말 1260가지 2007/03/16 세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