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6646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보라매`등 우리말의 기원

(::…자주 쓰는 우리말 나이사전 / 박숙회·유동숙 편저/책이 있 는 마을::)
우리말 ‘보라’의 기원은 어디일까. 누구나 쓰는 말이지만 이 말이 어디서 어떻게 유래됐는지를 알기는 쉽지 않다. 책은 우리 말의 기원과 유래과정을 찾아가는 흥미로운 저작이다.

‘보라’의 나이는 약 774살이나 됐다. 고려 1231년에 생겨난 말이다. 몽골의 지배를 받던 고려시대 몽골풍습으로 매사냥이 유행했는데 당시 보라매가 인기였단다. 그 보라매의 앞가슴에 난 털이 보랏빛이고 이 매를 몽골어로 ‘보로(boro)’라 불렀단다. 그러면 ‘심상(尋常)치 않다’의 ‘심상’은 어디서 나온 말일까.

‘심상’의 나이는 약 2291살이나 됐다. 심은 8자 길이며 상은 16자를 뜻한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제후들이 한 평 남짓하는 ‘ 심상의 땅’을 가지고 다투었다. 이런 보잘 것 없는 것이지만 심히 다투는 것을 심상치 않다고 한다.

책은 고조선에서부터 현대에 이르는 한국역사의 각 시기별로 등장하는 우리말의 기원과 유래를 적고 있다.

2005/09/30  문화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89 경상도 우리탯말 2006/10/28 매일신문
288 [독서로 논술잡기]`대한민국은 받아쓰기 중` 2006/10/21 동아일보
287 <사람들> `경상도 탯말` 출간 경상도 사람들 2006/10/17 연합뉴스
286 [책]간추린 우리말 바로쓰기 2006/10/13 세계일보
285 세계가 감탄한 기록문화의 우수성 2006/10/12 한겨레
284 <한글날 읽는 `나만 모르는 우리말`> 2006/10/09 연합뉴스
28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종이사전` 안낸다 2006/10/09 경향신문
282 `변화무쌍` 한글, 세종대왕도 몰랐을걸요 2006/10/08 한겨레
281 외국인.동포대상 한국어 읽기.말하기 교재 출간 2006/09/29 연합뉴스
280 한글이 어려운게 아니네 `초정리 편지` 2006/09/29 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