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0505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107)시나브로

낱말책서 살려낸 우리말 널리 쓰며 살찌워야 1990년대 첫무렵에 ‘시나브로’라는 말이 죽었던 말에서 산 말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낱말책에만 묻혀 있던 낱말 ‘시나브로’였습니다. 말뜻과 말느낌이 좋다며 그 뒤로 여러 곳에서 공식으로 이 낱말을 썼고 지금은 그럭저럭 널리 알려졌어요.
하지만 ‘시나브로’라는 말을 되살리기만 했지, 쓰임새를 넓히지 못했습니다. 그저 뜻과 느낌이 좋은 토박이말로만 생각하는 편이에요. 이 낱말을 쓸 만한 자리를 못찾는다고 할까요.

그러던 어느 날 <마츠이 다다시 지음-어린이 그림책의 세계>(한림출판사) 라는 책을 읽다가 “어떤 뜻을 갖는 것일까 하고 무의식중에 생각하고 있었습니다”란 대목을 만났습니다. 이 대목에서 ‘무의식중’이란 말이 좀 어렵고 알맞지 않다고 느겼어요. 알맞은 다른 말로 고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낱말책에서 ‘무의식중’이란 말을 찾아보았습니다.

‘무의식(無意識)’은 “자신의 언동이나 상태 따위를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일체의 작용”으로, ‘무의식중(無意識中)’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로, ‘은연중(隱然中)’은 “남이 모르는 가운데”로 풀이하더군요. 이렇게 세 가지 말뜻을 살피다가 퍼뜩 떠오른 말이 ‘시나브로’였습니다. ‘무의식-무의식중-은연중’이란 말뜻이 ‘시나브로’와 거의 같지 않느냐 생각했습니다.

저는 ‘시나브로’라는 낱말을 두 가지 뜻으로 풀이합니다. 하나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또는 천천히”이고 둘은 “남이 모르거나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입니다. 그래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이란 말뜻은 ‘무의식-무의식중’을 담아낼 수 있고 “남이 모르거나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란 말뜻은 ‘은연중’을 담을 수 있어요. 그래서 <어린이 그림책의 세계>에 나온 말은 “어떤 뜻을 가질까 하고 시나브로 생각했습니다”로 다듬을 수 있어요.

어떤 낱말을 ‘죽은말’ 아닌 ‘산말’로 숨을 불어넣었다면 그저 고운 말이 아니라 우리가 널리 쓸 말로 되살리면 더 좋습니다. 그러면 시나브로 우리말 살림도 넉넉할 수 있고 우리 마음도 더 따뜻할 수 있습니다.

최종규/책만드는이

2003/10/19 한겨레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8 홍어는 `썩혀야` 제 맛 2003/10/08 중앙일보
257 우리말 바루기 145 - `-량(量)`과 `양(量)` 2003/10/01 중앙일보
256 [함초롬한우리말]티없이 맑은· 해맑은 2003/09/20 한겨레신문
255 “임상시험·임상실험 어떤게 맞나요” 2003/08/21 파이낸셜뉴스
254 [함초롬한우리말]‘초여름’ 대신 ‘이른 여름’ 2003/07/27 한겨레신문
253 [우리말 바루기] "내 탓이오" 2003/03/11 중앙일보
252 우리말 바루기 163 - 낯설음/거칠음(?) 2003/10/28 중앙일보
251 식사하세요? 2003/10/28 한겨레신문
250 우리말 바루기 162 - 굽신거리다(?) 2003/10/27 중앙일보
249 우리말 바루기 161 - 손톱깎이·연필깎이 2003/10/27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