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9947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천자칼럼] 의학용어

한국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지난해 의료분쟁 피해 구제를 요청한 사람들의 가장 큰 불만은 병원에서 진료기록 사본 발급을 지연 또는 거부한 점이었다.
39.7%가 진료기록 교부요구를 거절당한 적이 있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들의 88.1%는 진료기록이 영어나 의학 전문용어로 작성돼 내용을 이해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실제 병원의 진료기록부는 잘 보여주지도 않지만 봐도 암호같아 무슨 내용인지 알기 어렵다.

많은 경우 영어로 휘갈겨져 있는데다 땀띠나 땀샘처럼 쉬운 것도 한진(汗疹) 한선(汗線)이라고 쓰고, 손저림증은 수근관증후근, 심장마비(heartattack)는 "카디악 어레스트"(cardiac arrest) 등으로 기록하는 탓이다.

환자권리장전엔 질병과 치료방법 부작용 진료비용을 알고,충분한 의료서비스를 알맞은 방법으로 진료받고, 요양방법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권리가 포함돼 있다.

하지만 이런 권리를 찾자면 환자나 보호자가 질병의 이름을 비롯한 각종 의학용어를 알아야 하는데 한자와 영어, 라틴어, 일본식 표현이 뒤섞여 있는 현 상태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의학용어 쉽게 바꾸기가 의료계의 주요 이슈로 대두된 것도 이런 까닭이다.

급기야 대한의사협회는 지난해 초 "우리말 의학용어집"을 펴냈다.

견갑골은 어깨뼈, 갑상선은 갑상샘, 이개(耳蓋)는 귓바퀴, 안검은 눈꺼풀, 안구건조증은 눈마름증, 구제역(口蹄疫)은 입발굽병, 봄철 아이들에게 유행하는 수족구병은 손발입병으로 바꾸고 췌장과 이자, 담낭과 쓸개, 골다공증과 뼈엉성증 등은 함께 쓰도록 권장한 내용이다.

그러나 이같은 한글용어에 대해 거부감을 보이거나 새 용어집이 만들어진 것조차 모르는 의사가 많은 게 현실이다.

결국 통계청에서 내년부터는 "한국 표준질병.사인분류"를 우리말 용어 중심으로 개정, 시행한다고 한다.

취한증은 땀악취증, 맥립종은 다래끼, 소양증은 가려움, 누선염은 눈물샘염, 시겔라증은 이질 등으로 적도록 한다는 발표다.

오래 써온 전문용어를 바꾸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다.

전문용어와 단순한 우리말 사이에 설명하기 어려운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병원을 찾는 환자나 보호자는 아프다는 사실만으로도 잔뜩 두렵고 위축돼 있다.

가능한한 쉬운 용어로 얘기해주면 아픈 것도 서러운 이들에게 한결 위안이 되고 그럼으로써 멀기만 한 의사와 환자의 거리 또한 좁힐 수 있을 게 틀림없다.

2002/07/28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49 <日학생 독서실종, 국어실력 위기> 2002/08/07 연합뉴스
248 임노순/국어 경시대회 輕視하는 사회 2002/08/04 동아일보
247 [천자칼럼] 의학용어 2002/07/28 한국경제
246 "키보이스의 `해변으로 가요`는 일본 노래" 2002/07/23 연합뉴스
245 `아햏햏` 사이버공간 지배한다 2002/07/21 일간스포츠
244 세대차이 나는 `게시판 언어` 2002/07/15 굿데이
243 죽어가는 언어를 살리자 2002/07/12 국민일보
242 <아파트 `토종 브랜드` 전성시대> 2002/07/12 연합뉴스
241 잇단 말실수…`뭘 그정도 갖고…` 라니 2002/07/01 일간스포츠
240 네티즌, 이색단어 찾기 열풍 2002/06/17 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