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2280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옥의티·옥에티?

`어디에 무엇이 있다`고 할 때는 `옥에 티가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것은 무엇이다`의 `무엇` 자리에 `옥에 티`, `옥의 티`, `옥에티`, `옥의티` 중에 어떤 것을 써야 할지 어렵게 느끼는 수가 많다. 앞의 둘은 띄어 썼으니 두 낱말로 짜인 명사구, 뒤의 둘은 붙여 썼으니 한 낱말로 된 명사로 본 것이다.

낱말이 아니고 관용구로 사전이 다루고 있는 보기로 `새 발의 피`를 들 수 있다. 넉자짜리 한자말로 `조족지혈`이 있지만 순우리말로는 `새 발의 피`인데 `새발`도 낱말로 인정되지 않고 `새발의피`도 마찬가지여서 `새 발의 피`는 두 번 띄어 써야 하고 그래서 낱말 아닌 이은말이다.

낱말인지 구인지는 가리기가 간단치는 않다. 우선 구일 경우를 가정해 보자. `그것은 옥에 티다`라고 하면 `옥에 티`가 명사구라는 것인데 `명사+에 명사`가 명사구가 되는 경우는 일반적이지 않다. 반면에 `명사+의 명사`가 명사구가 되는 것은 `우리의 소원`, `그 사람의 장점`처럼 아주 흔하다. 만일 ‘옥에 티`가 명사구라면 ‘옥에 있는 티`가 줄어서 ‘옥에 티`가 되었다고 봐야 하는데, 설명이 자연스럽지 않다. 구라면 ‘옥의 티`가 합리적이다.

낱말이라면 ‘옥에티`도 될 수 있고 ‘옥의티`도 될 수 있다. 지금 국어사전에는 ‘옥에티’, ‘옥의티’ 모두 없다. 둘 다 워낙 많이 쓰이는 말이니 낱말로 칠 수도 있다고 본다. 낱말이란다면 ‘옥에티`든 ‘옥의티`든 둘 다 가능하다. ‘눈엣가시`처럼 ‘옥에티`가 가능하고 ‘옥의티’ 역시 그럴 것이다. 이렇게 둘 다 가능할 경우에는 명사구로 쓰일 수 있는 `옥의 티`에서 온 ‘옥의티`를 낱말로 보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다.

2003/10/27 한겨레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8 홍어는 `썩혀야` 제 맛 2003/10/08 중앙일보
257 우리말 바루기 145 - `-량(量)`과 `양(量)` 2003/10/01 중앙일보
256 [함초롬한우리말]티없이 맑은· 해맑은 2003/09/20 한겨레신문
255 “임상시험·임상실험 어떤게 맞나요” 2003/08/21 파이낸셜뉴스
254 [함초롬한우리말]‘초여름’ 대신 ‘이른 여름’ 2003/07/27 한겨레신문
253 [우리말 바루기] "내 탓이오" 2003/03/11 중앙일보
252 우리말 바루기 163 - 낯설음/거칠음(?) 2003/10/28 중앙일보
251 식사하세요? 2003/10/28 한겨레신문
250 우리말 바루기 162 - 굽신거리다(?) 2003/10/27 중앙일보
249 우리말 바루기 161 - 손톱깎이·연필깎이 2003/10/27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