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2119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161 - 손톱깎이·연필깎이

집에서 많이 쓰는 물건 중에 `손톱깎이` `연필깎이`가 있다. `손톱깎기` `연필깎기`와 발음이 비슷(깎이[까끼], 깎기[깍끼])하다 보니 적을 때는 헷갈린다.

`깎이`는 `깎다`라는 동사의 어간에 사람.사물.일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이`가 붙어 만들어진 것이다. 때밀이.구두닦이.젖먹이.재떨이.옷걸이.목걸이.감옥살이.가슴앓이 등이 이런 것들이다.

`-이`는 명사.형용사, 의성어.의태어 등에 붙어 사람.사물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절름발이.애꾸눈이.멍청이.똑똑이.뚱뚱이.딸랑이.짝짝이 등이다.

`손톱깎기` `연필깎기`의 `깎기`는 `깎다`라는 동사에 명사 구실을 하게 만드는 어미 `-기`가 붙은 형태로 단순히 손톱이나 연필을 깎는 행위를 뜻한다.

"나 손톱 깎기 싫어" "연필 깎기는 정말 귀찮아" "혼자이기는 해도 외롭지 않다" "사람이 많기도 하다" 등에서처럼 `-기`는 동사.형용사가 문장에서 명사 구실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날씨가 제법 추워졌다. 주부들은 가족들의 두꺼운 옷을 챙기고 김장 담글 채비를 하는 등 겨울 준비에 바쁠 때다.

이처럼 겨울 동안 먹고 입고 지내기 위해 준비하는 옷가지나 양식 등을 통틀어 `겨우살이`라 하고, 그렇게 준비해 다가오는 겨울철을 맞는 일을 `겨울맞이`라 한다. 이때의 `-이`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다.

2003/10/27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8 홍어는 `썩혀야` 제 맛 2003/10/08 중앙일보
257 우리말 바루기 145 - `-량(量)`과 `양(量)` 2003/10/01 중앙일보
256 [함초롬한우리말]티없이 맑은· 해맑은 2003/09/20 한겨레신문
255 “임상시험·임상실험 어떤게 맞나요” 2003/08/21 파이낸셜뉴스
254 [함초롬한우리말]‘초여름’ 대신 ‘이른 여름’ 2003/07/27 한겨레신문
253 [우리말 바루기] "내 탓이오" 2003/03/11 중앙일보
252 우리말 바루기 163 - 낯설음/거칠음(?) 2003/10/28 중앙일보
251 식사하세요? 2003/10/28 한겨레신문
250 우리말 바루기 162 - 굽신거리다(?) 2003/10/27 중앙일보
249 우리말 바루기 161 - 손톱깎이·연필깎이 2003/10/27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