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52849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미숙아` 새 이름에 `이른둥이`

미숙아 대신 ‘이른둥이’로 불러 주세요.”

그동안 평균적인 임신 주 수를 다 채우지 못하고 태어난 아이는 미숙아로 불러, 다 채운 아이에 비해 뭔가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느낌을 주었다. 이에 아름다운 재단과 교보생명은 국립국어원 후원으로 지난 7월 일반인을 대상으로 새로운 한글이름을 공모했다. 미숙아라는 이유로 사회적 편견 속에서 고통 받는 가정에 희망과 용기를 준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학생, 주부, 직장인 등 총 600여명이 공모에 참여했다. 심사 결과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서거나 빠르다’라는 뜻의 동사 ‘이르다’에 귀여움을 받는 아이를 뜻하는 접미사 ‘둥이’를 붙인 ‘이른둥이’가 최종 선정됐다. 한번만 들어도 ‘세상에 조금 빠른 출발을 한 소중한 생명’이라는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편견이 들지 않은 친근한 이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 밖에도 도담이, 앞선둥이, 보듬이 등 여러 한글 이름이 ‘출품’됐다.

2006/10/08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5 이끼→오징어, 간조→결산 등 해양수산용어 우리말로 2006/11/29 조선일보
254 [우리말 다듬기]`시즌` 순화어 `∼번째 이야기`로 2006/11/22 동아일보
253 [우리말 다듬기]`홈베이킹` 순화어 `손수굽기`로 2006/11/08 동아일보
252 [우리말 다듬기]`원샷` 순화어 `한입털이` 2006/11/01 동아일보
251 하계동 ‘한글고비’ 보물승격 추진 2006/10/09 조선일보
250 `미숙아` 새 이름에 `이른둥이` 2006/10/08 한겨레
249 [우리말 다듬기]`피처링` 순화어 `돋움연주` 2006/09/20 동아일보
248 [우리말 다듬기]`…아카이브` 순화어 `자료전산화`로 2006/07/28 동아일보
247 근대법령 지식정보 DB, 어려운 법령 쉽게 풀이 2006/07/13 매일경제
246 `서동증→느림증`등 질병용어 쉽게 바꾸기로 2006/11/28 서울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