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96703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미숙아` 새 이름에 `이른둥이`

미숙아 대신 ‘이른둥이’로 불러 주세요.”

그동안 평균적인 임신 주 수를 다 채우지 못하고 태어난 아이는 미숙아로 불러, 다 채운 아이에 비해 뭔가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느낌을 주었다. 이에 아름다운 재단과 교보생명은 국립국어원 후원으로 지난 7월 일반인을 대상으로 새로운 한글이름을 공모했다. 미숙아라는 이유로 사회적 편견 속에서 고통 받는 가정에 희망과 용기를 준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학생, 주부, 직장인 등 총 600여명이 공모에 참여했다. 심사 결과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서거나 빠르다’라는 뜻의 동사 ‘이르다’에 귀여움을 받는 아이를 뜻하는 접미사 ‘둥이’를 붙인 ‘이른둥이’가 최종 선정됐다. 한번만 들어도 ‘세상에 조금 빠른 출발을 한 소중한 생명’이라는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편견이 들지 않은 친근한 이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 밖에도 도담이, 앞선둥이, 보듬이 등 여러 한글 이름이 ‘출품’됐다.

2006/10/08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25 2만원짜리 `효제례의` 발행 2006/08/10 파이낸셜뉴스
224 [우리말 다듬기]`휘핑` 순화어 `거품크림`으로 2006/08/04 동아일보
223 `수퍼맨`은 `슈퍼맨`으로 돌아왔어야 2006/08/01 국정브리핑
222 태극기·한글·청자… 이것이 한국대표 2006/07/26 한국일보
221 [우리말 다듬기]`언론플레이`순화어 `여론몰이`로 2006/07/21 동아일보
220 [우리말 다듬기]`키맨` 순화어 `중추인물`로 결정 2006/07/14 동아일보
219 전국 310곳 지명 바뀐다 2006/07/13 프라임경제
218 솜반내-선반내 명칭 놓고 논란 2006/07/08 제주일보
217 새 국새 봉황 손잡이에 훈민정음체로 2006/07/07 서울신문
216 방송사. 외국선수 표기·발음 `엉터리` 2006/06/15 서울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