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89913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162 - 굽신거리다(?)

"정문에서 경비원한테 여러 번 굽신거린 뒤에야 겨우 안으로 들어갔다."
이처럼 `고개나 허리를 가볍게 구부렸다 펴거나 남의 비위를 맞추려고 비굴하게 행동하는 모양`을 표현할 때 `굽신거리다`로 쓰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허리를 굽히는 것이므로 `굽다`의 `굽`에 `신(身)`이 결합(굽+신)된 것으로 알고 있어서 나타나는 현상인 듯싶다. 하지만 `굽신거리다`는 표준어가 아니다. `굽실거리다` `굽실대다`가 표준어다.

"저 사람은 사장 앞에서는 그저 굽실거리기만 하는 사람이다"
"○○○에게 굽실거리지 않은 사람들은 모두 현 정부에서 제외됐다"처럼 쓴다.

(동작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어근 뒤에 붙어)`그런 상태가 잇따라 계속됨`의 뜻을 더해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거리다`는 대체로 `-대다`와 바꿔 쓸 수 있다. `구시렁거리다` `넘실거리다` `꿈틀거리다` `움찔거리다` `방실거리다` 등이 있다. `굽실거리다`도 이와 같은 유(類)의 말이다.

`몸을 앞으로 굽히다` `겸손하게 처신하다`를 뜻하는 `굴신(屈身)하다`라는 말도 있다. 그러나 `굴신(屈伸)하다`는 다른 말이다. 팔.다리 따위를 굽혔다 폈다 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나이는 자기를 굽힘으로써 자신을 펴는 걸세. 펴고 있는 사람들 중에 자기를 굽히지 않았던 사람이 어디 있는가? 중국 사람이라면 이 굽힐 굴(屈)과 펼 신(伸) 두 글자를 마음속에 새기고 반복해서 그 뜻을 헤아려야 하네."(중국 작가 옌전(閻眞)의 `창랑지수(滄浪之水)`에서)

2003/10/27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8 홍어는 `썩혀야` 제 맛 2003/10/08 중앙일보
257 우리말 바루기 145 - `-량(量)`과 `양(量)` 2003/10/01 중앙일보
256 [함초롬한우리말]티없이 맑은· 해맑은 2003/09/20 한겨레신문
255 “임상시험·임상실험 어떤게 맞나요” 2003/08/21 파이낸셜뉴스
254 [함초롬한우리말]‘초여름’ 대신 ‘이른 여름’ 2003/07/27 한겨레신문
253 [우리말 바루기] "내 탓이오" 2003/03/11 중앙일보
252 우리말 바루기 163 - 낯설음/거칠음(?) 2003/10/28 중앙일보
251 식사하세요? 2003/10/28 한겨레신문
250 우리말 바루기 162 - 굽신거리다(?) 2003/10/27 중앙일보
249 우리말 바루기 161 - 손톱깎이·연필깎이 2003/10/27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