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85953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하계동 ‘한글고비’ 보물승격 추진

한글날을 맞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비석으로 알려진 서울 노원구 하계동 ‘한글고비(古碑·서울시 유형문화재 27호)’를 보물로 ‘승격’시키는 방안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8일 “하계동 한글고비가 전국에 있는 3개의 한글비석 중 문화재적 가치가 가장 높다고 판단해 문화재청에 보물지정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 비석은 하계동 서라벌 고교 맞은 편 불암산 자락에 서 있으며, 조선 중종 31년(1536년) 문신 묵재(默齋) 이문건(李文楗)이 아버지 묘를 이장하면서 외지인들이 흠집내지 못하도록 경고문을 한자와 한글로 새겼다. 한글 부분은 ‘녕? 비라 거운 사?? ?화? 니브리라(신령한 비이다. 쓰러뜨리는 사람은 화를 입을 것이다) 이? 글모?? 사??려 알위노라(이를 한문을 모르는 사람에게 알리노라)’라고 돼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한글로 된 옛 비석은 이 밖에도 경북 문경시 문경읍 ‘산불됴심비’와 경기 포천시 영중면 인흥군 이영 묘역 입구표석이 있다. 이들은 각각 정조·숙종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건립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김호연 서울시 문화재과장은 “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비석은 숱하게 많지만 정작 한글 비석은 단 한 개도 없다”며 “희소성과 역사성 등을 따져봤을 때 국가지정문화재 자격을 충분히 갖췄다는 것이 시 문화재위원들의 의견”이라고 말했다.

2006/10/09 조선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15 15세기 자음·모음 살아있는 언어박물관… 제주, 전국 첫 사투리 보전조례 2007/09/11 국민일보
314 [우리말 다듬기]`플라모델` 순화어 `조립모형` 2007/09/05 동아일보
313 [우리말 다듬기]`팬 미팅` 순화어 `다솜모임`으로 결정 2007/08/22 동아일보
312 [우리말 다듬기]`뷰파인더` 순화어 `보기창`으로 2007/08/15 동아일보
311 서울시, `한자 일색` 문화재 명칭 `우리말로` 2007/08/06 뉴시스
310 [우리말 다듬기]`프레젠테이션` 순화어 `시청각 설명` 2007/07/25 동아일보
309 [한입경제] 고추장 국제 표기는 `Gochujang` 2007/07/15 중앙일보
308 어려운 세법용어 쉽게 푸는 작업 `일단 시동` 2007/07/12 조세일보
307 [우리말 다듬기]`펌킨족` 순화어 `펌누리꾼` 2007/07/11 동아일보
306 [우리말 다듬기]`빙고` 순화어 `맞았어!`로 결정 2007/06/27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