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1656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163 - 낯설음/거칠음(?)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그래서 맞는 것이라고 착각하기 쉬운 단어들이 있습니다.

"불원간에 닥쳐올 앞날의 낯설음에 대한 두려움." "노지심의 거칠음은 성급한 성질이 빚어내는 것이다." "눈 주위 피부의 거칠음을 방지해 줍니다."

위 예문에 등장하는 `낯설음`과 `거칠음`은 낯설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것은 잘못 쓴 것입니다. 이 단어들은 `낯섦`과 `거`으로 써야 합니다. 이들은 형용사인 `낯설다`와 `거칠다`를 명사 구실을 하게 만든 것인데 이와 같은 것을 명사형이라고 합니다.

받침 없는 말이나 ㄹ 받침을 가진 말 다음에는 `음`이 아니라 `ㅁ`을 붙여서 명사형을 만듭니다. "엄벌에 처함이 옳다"에서 `처하다`의 어간 `처하-`는 받침 없이 끝나므로 명사형은 `ㅁ`을 붙여 `처함`이 됩니다. `낯설다`와 `거칠다`의 경우는 어간이 ㄹ 받침으로 끝나기 때문에 `낯설음` `거칠음`이 아니라 `낯섦` `거`으로 써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줄다`의 명사형은 `줆`이 됩니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어간 다음에는 `음`을 붙여 명사형을 만듭니다. 예를 들면 "재산의 많음과 적음에 따라 사람을 차별해서는 안 된다"의 `많음` `적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그 밖에 `기`를 붙여서 명사형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가 오기 전에 빨리 가야겠다" "이 창문은 열기가 어렵다" "신용이 없으면 돈을 빌리기가 쉽지 않다"의 `오기` `열기` `빌리기` 같은 경우입니다.

2003/10/28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8 홍어는 `썩혀야` 제 맛 2003/10/08 중앙일보
257 우리말 바루기 145 - `-량(量)`과 `양(量)` 2003/10/01 중앙일보
256 [함초롬한우리말]티없이 맑은· 해맑은 2003/09/20 한겨레신문
255 “임상시험·임상실험 어떤게 맞나요” 2003/08/21 파이낸셜뉴스
254 [함초롬한우리말]‘초여름’ 대신 ‘이른 여름’ 2003/07/27 한겨레신문
253 [우리말 바루기] "내 탓이오" 2003/03/11 중앙일보
252 우리말 바루기 163 - 낯설음/거칠음(?) 2003/10/28 중앙일보
251 식사하세요? 2003/10/28 한겨레신문
250 우리말 바루기 162 - 굽신거리다(?) 2003/10/27 중앙일보
249 우리말 바루기 161 - 손톱깎이·연필깎이 2003/10/27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