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8938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사투리 편견 이제 버렸으면

얼마 전 한 아이가 시골에서 전학을 왔습니다. 이 아이는 입만 열면 "긍게 거 뭣이냐, 나 마씨 시방…" 등 강한 억양의 사투리를 쓰는 바람에 놀림감이 됐죠. 심지어 선생님들까지도 시골아이의 사투리를 화제에 올릴 정도였습니다. 결국 시골아이는 주눅이 들어 입을 다물었고 수업시간에 발표라도 시키면 어찌할 바를 몰라 했습니다.

안되겠다 싶어 저는 아이를 불러 "얘야, 점점 사투리가 줄어들고 있단다. 그리고 사투리 사용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란다"라고 위로했습니다. 사실 지방어는 언어학과 민족사, 그리고 민속학적으로도 아주 중요하지 않습니까. 한데 우리는 지방 고유언어를 저급한 말투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방송 드라마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주로 범법자나 막노동꾼, 건달 등이 사투리를 쓰고 한가락하는 인물은 서울 말씨를 쓰도록 합니다.

사투리 쓰는 사람을 촌스럽다고 여기고 창피주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 봅니다. 표준어만을 절대기준으로 여기면 멀지 않아 우리네 조상의 숨결이 묻어 있는 토속 사투리는 이 땅에서 영원히 사라질 것입니다. 지금부터라도 학교나 지방단체에서 어린아이들을 대상으로 전국 규모 사투리 웅변대회를 열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박상희(전북 전주시 덕진구 만성동)

2002/08/11 굿데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9 한국어 교재 엉망 2002/08/22 한국일보
258 `아햏햏`을 아시나요? 2002/08/19 매일경제
257 ‘외계어’모르면 사이버문맹? 2002/08/15 스포츠투데이
256 아직도 일본식 “부끄러운 광복” 2002/08/14 국민일보
255 지하철명으로 살아난 옛이름 2002/08/14 국민일보
254 경희궁의 아침...용비어천가...古風 `그대로` 2002/08/13 한국경제
253 사투리 편견 이제 버렸으면 2002/08/11 굿데이
252 [한마당] 국어 실력 2002/08/09 국민일보
251 `パŁㄹБㅎЙ♡`=사랑해? W언어 한글파괴 위험수위 2002/08/08 굿데이
250 통신용어 제대로 쓰자 2002/08/07 매일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