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7278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바로잡아야 할 신문기사 문장의 표현

'감소되었다' '교통이 마비돼' '실시되고 있다' ' 등의 표현은 신문기사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표현은 '-하다'로 써야 하는 동사를 '-되다' 피동형으로 잘못 쓴 경우로 '감소했다' '교통이 마비해' '실시한다' 등이 옳다.

고창운 건국대 국문과 교수가 지은 '신문 문장 이해'(도서출판 박이정)는 신문 기사를 대상으로 쓰임에 문제가 있는 표현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로잡아 체계적으로 기술했다.

저자가 신문기사만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우리 말글살이에서 신문과 같은 대량 전달 매체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말은 능동태로 써야 자연스러운데도 신문기사 등에는 영어식 수동태 문장이 많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부르다'는 '불리다'도 모자라 '불리우다' '불려지다' 등 우리말 체계를 깨뜨리는 겹피동 표현을 쓴 기사도 있다고 밝혔다.

또 '민주화하다' '도시화하다' 등 서술 기능을 하지 못하는 한자말 뒤에 붙는 '-화하다'란 표현이 '차별' '개방'처럼 서술기능을 하는 한자말 뒤에도 쓰는 경우가 있는데 '개방하다' '차별하다' 등 '-하다'로 써야 한다고 바로잡았다.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rule out the possibility)' '-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free from -ing) 등의 직역된 영어는 '할 수도 있다' '피하기 어렵다' 등의 우리말로 다듬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에 다름아니다' '-와의' '-에 있어서' 등의 표현은 일어식 표현을 직역한 것으로 '-와 다름없다' '-와' '-에서/-에게'로 쓰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간단히 요약하다' '과반수 이상' '반드시 필요하다' '판이하게 다르다' '함께 공존하다' 등 한자말의 뜻을 정확히 모르거나 한 낱말로는 뜻이 약하다고 보고 강조하려는 심리에서 비롯된 겹말 표현도 뜻이 겹치는 부분은 빼고 다듬어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지적한 문제는 단순히 신문 기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신문에 기사를 제공하는 우리 사회 모두에게 그 책임이 있는 문제"라며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우리말과 글이 안고 있는 문제를 다시 돌이켜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2006/03/22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19 표준협회, `남북 산업표준 용어 비교집` 발간 2007/09/11 프라임경제
318 <책> 자주 틀리는 방송 말 모은 `방송화법` 2007/09/07 연합뉴스
317 유래를 알면 헷갈리지 않는 `우리말 뉘앙스 사전` 2007/08/16 뉴시스
316 [한국문학세상] 전용태씨 `한국어의 모든 것, 실용 문법 편` 펴내 화제 2007/08/01 연합뉴스 보도자료
315 <다채로운 한국어의 풍경> 2007/07/24 연합뉴스
314 순한글 여성시집 `기각한필` 첫 발견 2007/06/28 세계일보
313 상처받은 우리말·글 나으라고 쓰디쓴 약 한 첩 달여놓고… 2007/06/06 한국일보
312 [단독]이율곡 `동거계사`한글 필사본 발견 2007/04/12 세계일보
311 `영랑` 시어의식 변천 한눈에 2007/04/09 한겨레
310 [책]국어생활백서―틀리기 쉬운 우리말 1260가지 2007/03/16 세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