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156233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서적, 출판
바로잡아야 할 신문기사 문장의 표현
'감소되었다' '교통이 마비돼' '실시되고 있다' ' 등의 표현은 신문기사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표현은 '-하다'로 써야 하는 동사를 '-되다' 피동형으로 잘못 쓴 경우로 '감소했다' '교통이 마비해' '실시한다' 등이 옳다.
고창운 건국대 국문과 교수가 지은 '신문 문장 이해'(도서출판 박이정)는 신문 기사를 대상으로 쓰임에 문제가 있는 표현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로잡아 체계적으로 기술했다.
저자가 신문기사만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우리 말글살이에서 신문과 같은 대량 전달 매체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말은 능동태로 써야 자연스러운데도 신문기사 등에는 영어식 수동태 문장이 많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부르다'는 '불리다'도 모자라 '불리우다' '불려지다' 등 우리말 체계를 깨뜨리는 겹피동 표현을 쓴 기사도 있다고 밝혔다.
또 '민주화하다' '도시화하다' 등 서술 기능을 하지 못하는 한자말 뒤에 붙는 '-화하다'란 표현이 '차별' '개방'처럼 서술기능을 하는 한자말 뒤에도 쓰는 경우가 있는데 '개방하다' '차별하다' 등 '-하다'로 써야 한다고 바로잡았다.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rule out the possibility)' '-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free from -ing) 등의 직역된 영어는 '할 수도 있다' '피하기 어렵다' 등의 우리말로 다듬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에 다름아니다' '-와의' '-에 있어서' 등의 표현은 일어식 표현을 직역한 것으로 '-와 다름없다' '-와' '-에서/-에게'로 쓰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간단히 요약하다' '과반수 이상' '반드시 필요하다' '판이하게 다르다' '함께 공존하다' 등 한자말의 뜻을 정확히 모르거나 한 낱말로는 뜻이 약하다고 보고 강조하려는 심리에서 비롯된 겹말 표현도 뜻이 겹치는 부분은 빼고 다듬어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지적한 문제는 단순히 신문 기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신문에 기사를 제공하는 우리 사회 모두에게 그 책임이 있는 문제"라며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우리말과 글이 안고 있는 문제를 다시 돌이켜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2006/03/22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69
`직지` 한글ㆍ영어 번역 출판
2006/08/04
대전일보
268
남북 합작 과학기술백과사전 편찬한다
2006/07/20
전자신문
267
서울대 규장각, 소현세자 동궁일기 첫 완역
2006/07/19
세계일보
266
[함께읽어요] 속담의 의미와 정확한 쓰임새
2006/07/10
부산일보
265
우리말,이야기로 다시 태어나다
2006/07/07
국민일보
264
<한글창제 과정 역사추리소설로 재탄생>
2006/07/04
연합뉴스
263
남북 `말의 통일` 30만어휘 단일사전 만든다
2006/07/03
경향신문
262
`겨레말큰사전` 삼천리 방언 적극 발굴
2006/07/03
경향신문
261
원본 白石시집 출간
2006/06/28
연합뉴스
260
`우리말 임자` 찾아…최일남 산문집 `어느 날…`
2006/06/08
동아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6/62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