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6410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바로잡아야 할 신문기사 문장의 표현

'감소되었다' '교통이 마비돼' '실시되고 있다' ' 등의 표현은 신문기사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표현은 '-하다'로 써야 하는 동사를 '-되다' 피동형으로 잘못 쓴 경우로 '감소했다' '교통이 마비해' '실시한다' 등이 옳다.

고창운 건국대 국문과 교수가 지은 '신문 문장 이해'(도서출판 박이정)는 신문 기사를 대상으로 쓰임에 문제가 있는 표현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로잡아 체계적으로 기술했다.

저자가 신문기사만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우리 말글살이에서 신문과 같은 대량 전달 매체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말은 능동태로 써야 자연스러운데도 신문기사 등에는 영어식 수동태 문장이 많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부르다'는 '불리다'도 모자라 '불리우다' '불려지다' 등 우리말 체계를 깨뜨리는 겹피동 표현을 쓴 기사도 있다고 밝혔다.

또 '민주화하다' '도시화하다' 등 서술 기능을 하지 못하는 한자말 뒤에 붙는 '-화하다'란 표현이 '차별' '개방'처럼 서술기능을 하는 한자말 뒤에도 쓰는 경우가 있는데 '개방하다' '차별하다' 등 '-하다'로 써야 한다고 바로잡았다.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rule out the possibility)' '-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free from -ing) 등의 직역된 영어는 '할 수도 있다' '피하기 어렵다' 등의 우리말로 다듬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에 다름아니다' '-와의' '-에 있어서' 등의 표현은 일어식 표현을 직역한 것으로 '-와 다름없다' '-와' '-에서/-에게'로 쓰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간단히 요약하다' '과반수 이상' '반드시 필요하다' '판이하게 다르다' '함께 공존하다' 등 한자말의 뜻을 정확히 모르거나 한 낱말로는 뜻이 약하다고 보고 강조하려는 심리에서 비롯된 겹말 표현도 뜻이 겹치는 부분은 빼고 다듬어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지적한 문제는 단순히 신문 기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신문에 기사를 제공하는 우리 사회 모두에게 그 책임이 있는 문제"라며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우리말과 글이 안고 있는 문제를 다시 돌이켜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2006/03/22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39 8월 27일 학술 새로 나온 책 2005/08/26 한겨레
238 한글 태생의 비밀은 ‘음양오행’ 2005/08/24 대전일보
237 '윤동주 시어 사전' 출간 2005/08/16 연합뉴스
236 기틀 마련한 ‘겨레말큰사전’ 2005/08/16 한겨레
235 소설가 이외수씨 '격외선당 문학연수' 인기 2005/07/18 강원일보
234 강정희 교수, ‘제주방언 형태 변화 연구’ 펴내 2005/07/02 제주일보
233 훈민정음 ‘사라진 두장’ 미스터리 풀려 2005/06/15 동아일보
232 천상병 시인 육필시집 2005/04/27 한겨레
231 정지용 전집-정지용 2005/04/26 동아일보
230 연암의 문학 200년 만에 되살아나다 2005/04/16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