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55344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국역 정조국장도감의궤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가 궁중제례·서지·민속 분야의 값진 연구 성과물들을 잇따라 책으로 내놓았다.

<국역 정조국장도감의궤>(전 4권)는 1800년 개혁군주 정조의 장례 기록인 의궤 내용을 순우리말로 옮겼다. 궁내 환경전에서 발인해 경기도 화성 건릉 장지까지 임금의 유해를 옮기는 절차를 담은 기록인데, 만장(輓章)의 추모 내용과 상복을 짠 장인들 이름, 상여에 쓴 못 개수까지 적고있어 당대 준엄한 기록정신을 보여준다.

<일본 텐리대 도서관 소장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은 ‘한국학 보고’인 도서관 소장 조선 관련 고문서, 활자본 등의 문화재들을 조사한 내용이다. 덴리대는 조선사 연구의 기초를 닦은 일제 어용사학자 이마니시 류가 모은 고문서·활자본을 소장한 곳으로 유명하다. 목록에는 세종 때의 <당시삼체시법>, 중종 때 초간본 <이륜행실도> 등의 유일본과 고려~임란이전 목판본, 을해자판 등 다채로운 활자본들이 포함되어 있다. 17세기 천재지변 때 제례의식 기록을 역주한 <국역 해괴제등록>, <조선시대 민속문헌 해제>, <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 중요무형문화재 10종의 원형기록물 등도 나왔다.

2006/03/26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9 60년 외길 노학자의 `국어교육 길라잡이` 2006/06/02 한겨레
258 `옥루몽` 전5권 현대어로 완역 2006/05/29 조선일보
257 [아침을 열며] 경국대전을 외국어로 번역하자 2006/05/15 한국일보
256 `우리말 속담사전` 출간 2006-04-11 연합뉴스
255 국역 정조국장도감의궤 2006/03/26 한겨레
254 바로잡아야 할 신문기사 문장의 표현 2006/03/22 연합뉴스
253 서정범 교수 어학 전집 나와 2006/02/03 중앙일보
252 이진원 기자 '우리말에 대한 예의' 출간 2005/12/19 부산일보
251 사투리에 깃든 삶의 깊이 느껴 봐요 2005/12/16 중앙일보
250 北, 어원유래 담은 서적 발간 2005/12/06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