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1656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함초롬한우리말]티없이 맑은· 해맑은

쾌청·청명 같은 한자말보다 더 아름답죠? 헌책방을 다니며 오래된 자료를 찾는 일은 뜻하지 않은 자료나 이야기를 만나는일이기도 합니다.
보름쯤 앞서 <전과모범정해(1928)>라는 일제강점기 때 학습참고서를 장만했습니다. 한 장씩 찬찬히 넘겨보다가 ‘금(金)’이라는 한자풀이를 보았습니다. ‘빗치누른쇠’ 1928년에 소학교 2학년 아이들이 배우던 교재에 ‘쇠 금(金)’을‘빗치누른쇠’로 풀이하는군요.

좀 놀랐습니다. 아니 느낌이 새로웠습니다.

요즘 우리는 ‘(황)금’을 보고 ‘빛이 누런 쇠’라고 말하지 않거든요. 아니, 말하는 분들도 계시겠죠. 보통 ‘노란빛이 나는 귀금속’을 ‘금’이라고 합니다. 잘 살피면 ‘금’은‘누런쇠’라고 할 수 있어요.

‘귀중한 금속’이라 ‘귀금속’이겠지만 ‘황금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옛 말씀처럼 ‘쇠붙이’로 여겨 ‘누런쇠’라고도 넉넉히 말할 수 있습니다.

가을은 가을인데 비가 너무 잦아 벼가 제대로 안 익습니다. 늦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들어야 할 한가위이니 푸르고 맑은 하늘을 보며 가슴을 활짝 펴고 싶습니다.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볼까요? 하늘이 어떤가요? 맑고 푸른가요? 하늘이 맑고 푸르다고 할 때, 우리는 보통 무어라고 말하는가요. ‘쾌청(快晴)’?‘청명(淸明)’? 아니면? 맑은 하늘은 ‘맑은’ 하늘입니다. ‘쾌청(快晴)’이나 ‘청명(淸明)’이란 말이있으나 ‘쾌청’은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하늘을, ‘청명’은 ‘밝고 맑은’하늘을 가리킵니다. 이때 우리는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하늘은 ‘티없이 맑은’ 하늘로, ‘밝고 맑은’ 하늘은 ‘해맑은’ 하늘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주 하얗고 맑다’나 ‘해처럼 밝고 맑다’가 ‘해맑다’입니다. ‘아무런 티나 먼지나 잡것이 없는’ 모습이 ‘티없는’ 모습이고요. 그렇다면 우리네 높고 푸른 가을하늘을 바라볼 때 ‘티없이 맑은’ 하늘과 ‘해맑은’ 하늘이라고 말할 때가 더 낫겠죠? 어떻습니까?

최종규/책만드는이

2003/09/20 한겨레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68 `황산벌 전투` 때 무슨 말 썼을까? 2003/10/21 주간조선
267 [함초롬한우리말]옮긴이·찍은곳·빠르기‥ 2003/09/07 한겨레신문
266 [네티즌글사랑] `알타리김치` X `총각김치` ○ 2003/08/03 굿데이
265 [함초롬한우리말]‘머큐로크롬’ 보다는 ‘빨간약’ 2003/08/03 한겨레신문
264 [우리말 바루기] `율`과 `률` 2003/03/25 중앙일보
263 터主? 2003/10/20 한겨레신문
262 우리말 바루기 156 - `메다`와 `매다` 2003/10/19 중앙일보
261 <해석이 되지 않았던 고려말 단어 뜻 확인> 2003/10/16 연합뉴스
260 우리말 바루기 154 - 눈곱/눈살/등쌀 2003/10/15 중앙일보
259 우리말 바루기 152 - `벌이다`와 `벌리다` 2003/10/13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