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0746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홍어는 `썩혀야` 제 맛

흑산도 홍어가 대풍이란다. 한때 씨가 말랐던 흑산도에서 3년 전에 저인망 어선의 조업을 금지한 이후 홍어가 늘기 시작해 해마다 점점 많이 잡힌다고 한다. 워낙 귀하다 보니 부르는 게 값인 흑산도 홍어는 칠레산이나 중국산에 비해 붉은빛을 띠며 쫄깃쫄깃하고 담백하다.

"다른 물고기는 썩이면 부패하지만 홍어는 썩여야 특유의 맛을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홍어는 `썩이면` 제 맛을 볼 수 없다. `썩혀야` 톡 쏘는 맛을 느낄 수 있다. 사람들이 자주 혼동해 쓰는 `썩히다` `썩이다`는 둘 다 `썩다`의 사동사지만 그 쓰임이 다르기 때문이다.

`썩히다`는 `음식을 썩히다` `재능을 썩히다`처럼 쓰이는 반면 `썩이다`는 `부모 속을 썩이다` `골치를 썩이다`처럼 쓰인다. 그러므로 그 뜻에 따라 골라 써야 한다.

`삭다`의 사동사로 쓰이는 `삭히다` `삭이다`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다. `삭히다`는 `김치를 삭히다` `멸치젓을 삭히다` `민속주는 곡식을 삭혀서 만든다`처럼 쓰이고, `삭이다`는 `쇠도 삭이는 왕성한 식욕` `분을 삭이다` `기침을 삭이다`처럼 쓰인다.

이것과 경우는 약간 다르지만 자주 혼동해 쓰는 말이 있다. `박이다`와 `박히다`다. `박이다`는 `버릇이 몸에 박였다` `굳은살이 박인 손` `사진을 박였다`처럼 쓰이고, `박히다`는 `벽에 박힌 못` `그의 시선은 허공에 박혀 있었다`처럼 `박다`의 피동 형태로 쓰인다.

이제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제법 쌀쌀하다. 잘 썩힌 홍어가 들어간 `삼합` 한 접시에 막걸리 한 사발이 생각나는 때다.

2003/10/08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68 `황산벌 전투` 때 무슨 말 썼을까? 2003/10/21 주간조선
267 [함초롬한우리말]옮긴이·찍은곳·빠르기‥ 2003/09/07 한겨레신문
266 [네티즌글사랑] `알타리김치` X `총각김치` ○ 2003/08/03 굿데이
265 [함초롬한우리말]‘머큐로크롬’ 보다는 ‘빨간약’ 2003/08/03 한겨레신문
264 [우리말 바루기] `율`과 `률` 2003/03/25 중앙일보
263 터主? 2003/10/20 한겨레신문
262 우리말 바루기 156 - `메다`와 `매다` 2003/10/19 중앙일보
261 <해석이 되지 않았던 고려말 단어 뜻 확인> 2003/10/16 연합뉴스
260 우리말 바루기 154 - 눈곱/눈살/등쌀 2003/10/15 중앙일보
259 우리말 바루기 152 - `벌이다`와 `벌리다` 2003/10/13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