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58565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우리말 임자` 찾아…최일남 산문집 `어느 날…`

‘머리가 제시한 단어를 어김없이 쓰다가도, 맘에 들지 않으면 당장 이의를 제기하고 나선다. 이의를 다는 데 머물지 않고 이 말은 어떠냐는 투로 대신할 대자 대안까지 곧잘 꺼내 보인다.’

머리의 하인인 듯싶지만 실제론 머리의 주인인 것? 소설가 최일남(74·사진) 씨의 손이다. 같은 단어를 또 쓰려고 하자 손이 멈춰 버린다. 작가의 손은 재탕 반복되는 단어 대신 새로운 것을 찾고 싶어 한다. ‘창작의 결벽성’을 한눈에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

최 씨가 13년 만에 산문집 ‘어느 날 문득 손을 바라본다’(현대문학)를 펴냈다. 50여 년 소설을 써온 원로 작가의 예민한 성찰이 담긴 책이다.

산문의 대부분은 문학과 언어에 관한 이야기다. 1953년 등단했을 때부터 출판사 편집장을 하면서 활자의 매력을 느끼기 시작했을 때, 동아일보를 비롯한 신문사에서 기자로 데스크로 일하면서 활자가 업이 됐을 때 등 문자와 함께한 그의 인생이 소개된다. 멋 부리지 않은 담백한 문장에서 진솔함이 느껴진다.

돋보이는 부분은 우리말에 대한 애정이다. ‘얼핏 비슷한 말이라도 그때그때 정황에 따라 쓰임새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말 임자를 만나야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게 작가의 지론. ‘표현의 틈을 저밀 수 있는 데까지 저며 제일 정확한 놈을 골라내는 작업을 거쳐야 진국이 된다’는 것이다. 외래어의 틈입과 남북 분단이 가져온 말의 이질화, 인터넷 채팅으로 인한 말의 훼손도 날카롭게 비판한다. 자신의 목소리를 높이지 않으면서 읽는 이로 하여금 돌아보고 각성하게 만드는 최일남 글의 힘은 여전하다.

최 씨는 “스러진 옛 기억의 단편들을 주워 모은 것”이라며 “시간이 지나도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글을 나누고 싶었다”고 말했다.

2006/06/08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89 경상도 우리탯말 2006/10/28 매일신문
288 [독서로 논술잡기]`대한민국은 받아쓰기 중` 2006/10/21 동아일보
287 <사람들> `경상도 탯말` 출간 경상도 사람들 2006/10/17 연합뉴스
286 [책]간추린 우리말 바로쓰기 2006/10/13 세계일보
285 세계가 감탄한 기록문화의 우수성 2006/10/12 한겨레
284 <한글날 읽는 `나만 모르는 우리말`> 2006/10/09 연합뉴스
28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종이사전` 안낸다 2006/10/09 경향신문
282 `변화무쌍` 한글, 세종대왕도 몰랐을걸요 2006/10/08 한겨레
281 외국인.동포대상 한국어 읽기.말하기 교재 출간 2006/09/29 연합뉴스
280 한글이 어려운게 아니네 `초정리 편지` 2006/09/29 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