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054784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서적, 출판
원본 白石시집 출간
일제 시기 향토시인, 민속시인으로 잘 알려진 백석(白石. 1912~1995)의 시집을 당시 원본대로 수록하고 주해를 단 '원본 백석 시집'(깊은샘)이 출간됐다.
평안북도 정주 출신인 백석은 1936년 시집 '사슴'을 간행하며 문단에 데뷔한 후 '통영(統營)', '오리', '탕약(湯藥 )' 등 토속적이고 향토색 짙은 서정시들을 발표해왔다.
한국 전쟁 이후 재북시인으로 규정돼 작품 공개가 금지돼 오다가 1988년 납월북 문인의 해금조치 이후 전집이 간행되고 문학세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돼왔으나 낯선 평안북도 방언과 특이한 민속적 소재가 많아 작품 해석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2003년 '원본 정지용 시집' 주해서를 낸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 이숭원 교수가 주해한 이번 책은 백석이 '사슴'을 발간하기 전에 발표한 작품 전편과 '사슴'에 수록한 전편, 그리고 시집 발간 이후 1948년까지 발표한 시 전편을 원본 그대로 스캔해 수록한 것이다.
특히 시어에 대한 자세하고 새로운 주해를 단 것이 특징이다.
선행 연구자들의 해석을 토대로 하되 시어 해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단어 자체의 의미보다는 문맥을 우선으로 가장 합당한 뜻을 선택하고 기존 연구자들과는 다른 해석을 제시하기도 했다.
예컨대 시 '여우난골족'에 나오는 '홍게닭'을 보통 '새벽에 우는 닭'으로 풀이하는데, 이 교수는 '홍계(紅鷄)'라는 한자어에 고유어 '닭'이 붙어 형성된 말로 보고, '붉은 빛의 토종닭'을 지칭하는 말로 해석했다.
또 '모닥불'에 나오는 '몽둥발이'라는 말은 '손발을 잃은 장애인'이라는 뜻이 아니라 '딸려 붙었던 것이 다 떨어지고 몸뚱이만 남은 것'을 뜻하는 말로, 시의 문맥 속에서는 '일가친척도 없는 외톨이 고아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했다.
이 교수는 맺음말을 통해 "한국 시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백석의 결정판 시 전집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돼야 할 것"이라며 시 해석이나 표기법 등에 있어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지나 엮음. 252쪽. 1만2천원.
2006/06/28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69
`직지` 한글ㆍ영어 번역 출판
2006/08/04
대전일보
268
남북 합작 과학기술백과사전 편찬한다
2006/07/20
전자신문
267
서울대 규장각, 소현세자 동궁일기 첫 완역
2006/07/19
세계일보
266
[함께읽어요] 속담의 의미와 정확한 쓰임새
2006/07/10
부산일보
265
우리말,이야기로 다시 태어나다
2006/07/07
국민일보
264
<한글창제 과정 역사추리소설로 재탄생>
2006/07/04
연합뉴스
263
남북 `말의 통일` 30만어휘 단일사전 만든다
2006/07/03
경향신문
262
`겨레말큰사전` 삼천리 방언 적극 발굴
2006/07/03
경향신문
261
원본 白石시집 출간
2006/06/28
연합뉴스
260
`우리말 임자` 찾아…최일남 산문집 `어느 날…`
2006/06/08
동아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6/62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