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601058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겨레말큰사전` 삼천리 방언 적극 발굴

“우리도 이제 표준어만 국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할 때입니다. 북한사회도 이미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어요.”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남측위원장을 맡고 있느 홍윤표 연세대 교수는 지난 2일 겨레말큰사전의 의미를 설명하며 방언에 대한 현장조사의 가치를 강조했다.

홍교수는 “풍부한 사전을 만들기 위해 남북한 조사자들이 지방에 퍼져 있는 방언들을 수집하는 중”이라며 “아직 남북 어떤 사전도 이런 시도를 못했다”고 말했다. 홍교수에 따르면 북한도 김일성 교시에 의한 평양말 중심의 문화어 정책에서 방언을 중시하는 공통어 정책으로 가고 있다. 이념의 골이 사전 편찬에 장애가 되지는 않을까. 홍교수는 역발상이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북에서 쓰는 ‘미제(미제국주의)’를 사전에 실을 것인지, 우리가 쓰는 ‘괴뢰군’을 실을 것인지의 문제는 사실 매우 어려운 문제”라며 “그러나 이런 부분은 ‘남에서는 이렇게 쓰고, 북에서는 이렇게 쓴다’고 표기해주는 등의 지혜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논의를 금기시하기보다 있는 그대로 드러내 사전에 반영해주면 그게 오히려 갈등을 치유해주는 길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어문규범 통일의 어려움에 대해 홍교수는 “한꺼번에 하려 하지 말고, 1년에 하나씩만 통일시키자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사전 첫 권이 나올 때까지는 어문규범이 통일될 것”이라며 “어문규범은 일단 겨레말큰사전에만 적용되겠지만 이를 일상의 언어생활로 확대시켜 나가자는 것이 우리들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홍교수는 “겨레말큰사전을 시작으로 우리도 옥스퍼드 사전, 그림 사전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전이란 편찬이 끝나는 동시에 본격 시작되는 것”이라며 “계속 새롭게 해야 사전이 생명력을 갖는다”고 말했다. 옥스퍼드·그림 사전은 200년 이상 계속 흘러오며 각각 10~20권이 나온 상태다. 특히 그림형제가 만든 그림 사전은 동·서독이 분리돼 있을 때에도 편찬 작업이 계속 진행됐다. 홍교수는 이를 위해 “2012년까지 첫 권을 만들어낼 수 있겠지만 이후에는 법률에 근거한 상설 편찬실을 두고 연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2006/07/03 경향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99 한불사전 29년만에 전면 개정 2007/02/02 한겨레
298 외솔 최현배 시조집 출간 2007/02/02 연합뉴스
297 교통방송 아나운서들 `우리말…` 발간 2007/01/17 문화일보
296 우리 말 `억지춘향` 그 유래는 무얼까 2007/01/11 헤럴드경제
295 `속담 대사전` 나왔다 2006/12/11 한겨레
294 속담이 진담이네…정종진교수 `속담사전` 출간 2006/11/30 동아일보
293 `짜장` 구수한 우리말, `라온` 맘으로 공부해요 2006/11/19 한겨레
292 [어린이 책]`고운 우리말 100가지` 2006/11/11 동아일보
291 `광대등걸` `조쌀하다`? 2006/11/06 조선일보
290 오지기 맞았나?, 억수로 맞았나? 2006/10/29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