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50266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인터넷 한글파괴 현상 심각

우리나라 글인 한글을 뿌리째 흔들고 있는 `한글 파괴현상`이 인터넷을 통해 급속히 전파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글도 아니고 일본어도 아닌 데다 각종 기호와 부호까지 섞인 `국적 없는 언어`가 인터넷 채팅사이트 등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것.

이 같은 현상은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등 국어를 체계적으로 습득하는 과정에 있는 학생들 사이에서 특히 심각해 우리나라의 문화적인 근간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게다가 요즘은 이런 새로운 통신 은어들을 `한국어`로 번역해주는 번역용 소프트웨어까지 등장하고 있어 더 이상 통신 은어는 우리 말과 글이라고 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와 있다.용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됐다. 붉은 악마의 ‘CU@K리그’, 채팅용어인 ‘어솨요’(어서와요) ‘방가’(반갑습니다) 등이 1세대로 분류되며, 한글을 글자가 아닌 발음을 기본으로 변형시킨 게 2세대 통신 은어로 분류할 수 있다.

1세대 통신 은어도 한글파괴 현상이 있었으나 `말줄임`이라는 언어의 기능적인 장점이 부각되면서 일부 은어는 일상어로 정착되기도 했다.

이에 비해 2세대 통신 은어는 발음대로 갖가지 언어들을 조합하는 유희적 성격이 강해 한글파괴 현상을 낳고 있다. 현재 초등학생과 중학생 사이에서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월드컵 개최 이후, 영어, 한자, 일본어 등 외국어와 특수문자를 한글과 접목시키는 사례까지 등장하면서 2세대 통신 은어의 한글 파괴력이 한층 빨라졌다.

2세대 통신 은어는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하므로 일명 `외계어`라고 불리운다.

◆ 초·중학생 사이에서 한글 파괴현상 심각

øよøぎㅎビλĦㅎコ_¤ 읍ㅎF_しち흐ロっㅉヴ횾_≥∇≤☆ ゴıゴıㆀ 읍ㅎ℉_ズй_ザウてエ_øГøノでł_칀구등록_ㅎħ㈜λЙㅎゴ_。 칀그등록_ㅎħ㈜λıㄲうズı횽?_≥∇≤★ ㅎŊ㈜λıㄸйㄲじズı_글올ㄹらしıて℉_∽* ロЙ흴_ゼつじĦ㈜λıㄲっズき¿?

(안녕하세요 오빠 너무 멋져요 키키 오빠 제 버디 아이디 친구 등록해주세요. 친구등록 해주실꺼지요? 해주실때까지 글올립니다. 메일 보내주실거죠?)

초·중학생들이 자주 방문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게시판에는 각종 인터넷에서의 이런 은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월드컵 이후, 외국어와 특수문자들을 접목하는 사례들이 늘어나면서 한글의 자취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통신은어 사용층은 제한된 반면, 통신 은어는 인터넷 게시판에서 벗어나 e메일, 게임 등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언어 습득력이 높은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은 통신 은어를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런 통신 은어가 확산되고 있는 것은 외국어와 특수문자를 이용해 한글을 현란하게 조합함으로써 타인에게 자신의 통신 능력이나 새로운 문화를 습득했다는 것을 과시를 하려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에는 상대방이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은어들도 등장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에 사는 한 여중생은 "장난삼아 친구들과 가끔씩 인터넷에서 이런 은어들을 사용한다"며 "내가 상대방의 은어를 이해하지 못하기도 하지만 대충 뜻은 이해할 수 있어 그냥 사용한다"고 말했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은어를 하나의 언어로 받아들일 우려가 있어 한글 파괴현상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편으론 인터넷상에서 통신은어를 일상용어로 번역해주는 `외계어 번역기`도 등장하고 있으며 인터넷상에서는 은어를 `외계어`라 지칭하며 이를 반대하는 사이트도 등장하고 있다.

◆ 통신 은어 동호회들도 등장

한글 파괴현상을 우려하는 동호회가 인터넷 상에서 개설됐으며, 이와는 정 반대로 최신 유행 신조어를 소개하는 홈페이지도 등장하고 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다음(www.daum.net) 내 `언어파괴를 반대하는 사람들` 동호회는 `외계어 신고방` 게시판을 개설해 각종 은어들을 수집하고 있다.

이곳은 인터넷에 떠도는 외계어를 게시판에 게재함으로써 한글파괴 현상의 심각성을 알리는 통로 구실을 하고 있다.

일부 동호회 회원들은 `외계어`를 일상용어로 풀이하면서 서로의 해석이 맞다고 주장하는 해프닝까지 벌어지고 있다.

또 최근 국어사전에도 없는 신조어인 `아햏햏`가 퍼지면서 `아햏햏` 홈페이지(www.ahehheh.com)도 등장했다.

`아햏햏`는 마음상태를 표현한 단어로, 한 가지 의미로만 해석하기 힘든 단어라는 게 사용자들의 설명이다. 디지털 카메라 전문 사이트인 디씨인사이드(www.dcinside.com)에서 한 네티즌에 의해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회원들을 `햏자`라고 지칭하는 이 사이트에서는 `하오`체가 많은 게 특징. 또 `없다` 대신 `업ㅂ다`와 `쌔다`, `압박하다` 등 각종 은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 2세대 통신 은어 놓고 논란

2세대 통신 은어를 어떻게 받아들인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2세대 통신 은어를 하나의 은어로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과, 한글파괴 현상을 막기 위해 차단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통신 은어를 옹호하는 측은 "은어는 특정인들이 사용하는 용어인 만큼 2세대 통신 은어를 제한하기에 앞서 하나의 문화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은 "인터넷도 이제 보편적인 통신매체인 만큼 더 이상 은어로 받아들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더 이상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2002/08/28 inews24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69 [사설]국어는 외롭다 2002/09/15 동아일보
268 [사설] 오류 투성이 국어 교과서 2002/09/15 한국일보
267 "국어교과서 맞춤법.띄어쓰기 오류 1천여건" 2002/09/13 연합뉴스
266 [독자편지]윤재열/새교과서 사이시옷 표기 엉망 2002/09/08 동아일보
265 `아햏햏 현상` 2002/09/03 한국경제
264 인터넷 한글파괴 현상 심각 2002/08/28 inews24
263 오동환/방송언어 제대로 쓰자 2002/08/26 동아일보
262 장타율… 방어율…엉터리 용어 언제까지 2002/08/26 동아일보
261 "저희 남편께서는..." 2002/08/23 한국일보
260 우리말, 자부심을 갖고 바로 쓰자! 2002/08/22 시티라이프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