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03089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국어생각] `해후`의 조건

① 하산길에 문득 누구보다도 화왕산을 사랑했던 화왕산 지킴이 하도암(57) 씨가 생각나 자하 계곡 아래 첫집 화왕산장(불임금묏집)을 찾았다. (중략) 10년 만에 해후한 산인은 올 2월부터 후두암으로 고생하고 있었다. 항암 치료로 탐스러웠던 꽁지머리는 다 빠지고 부기가 오르고 쉰 목소리의 중늙은이에서 예전의 눈빛 형형하고 날렵했던 모습을 찾지 못해 한동안 망설였다.

② 참 오랜만의 ‘해후’다. 조금은 수줍고 앳된 미소를 간직했던 가수 최성수 씨(46)는 어느덧 가을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중년이 돼 있었다. (중략) 재테크 있어서도 가치가 쉽게 변하지 않는 곳을 선호했다. 현재 그는 한강과 남산이 시원하게 보이는 잠원동 쪽에 살고 있다. “10년 전부터 최고였던 곳은 앞으로도 최고라고 생각해요.”

③ 미국 콜롬비아 대학에서의 유학 생활을 접고 귀국하면서 범여권의 정계 개편 중심 인물로 부각돼 오면서도 한사코 현실 정치와 거리를 뒀던 추 전 의원의 사실상 정치 복귀 선언에 정치권은 요동쳤다. 특히 정동영 열린우리당 전 의장과 민주당 분당 이후 3년 반 만의 해후(?)에서 서로 덕담을 주고받으며 지난날 동지애를 되살리는 의미 있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④ 20년 만에 해후한 '남과 여' 20년 후/1966년 작품 ‘남과 여’의 완결 편. 전편의 감독과 주연 배우가 다시 만나 화제가 됐다. 사랑의 감정이 막 싹틀 때 헤어진 안느와 장 루이. 20년 후 안느는 영화 제작자가, 장 루이는 자동차 레이싱 팀의 지도자가 됐다. 안느는 딸로부터 극장 앞에서 장 루이를 봤다는 말을 듣는다. 그녀는 옛 사랑을 영화로 만들 생각으로 장 루이를 만난다.

기사 (1)~(4)를 보자. ①은 화왕산 지킴이 하도암(57) 씨가 생각나 그가 사는 곳에 찾아가 10년 만에 만났다. ②는 ‘스타 재테크’라는 연재 코너에서 가수 최성수 씨를 불러 어떻게 재산 관리를 하는지 인터뷰했다. ③은 추미애 전 의원과 정동영 전 의장이 공개된 장소에서 만났다. ④는 딸의 말을 듣고 옛 애인을 찾아가 만난다. 이 네 기사는 약속이나 한 듯이 한결같이 ‘해후’라는 말을 썼다. 문제는 없는가.

만났다고 무조건 ‘해후’가 되진 않는다. 어떤 조건이 필요하다. 그 조건이 뭔지 찾아보자.

‘해후(邂逅)하다’는 오랫동안 헤어졌다가 뜻밖에 다시 만난다는 뜻이다. ‘해후’의 한자(漢字)도 ‘우연히 만날 해(邂)’, ‘우연히 만날 후(逅)’다. 만났다가 헤어져 다시 만날 때까지의 일정한 공백기가 있어야 하고, 그 만남이 예정된 것이 아니어야 한다. 즉 우연히 만나는 것이어야 한다. (1)~(4)의 만남 중 ‘우연히’ 만난 예는 없다. 모두 예정된 만남이고 의도된 만남이다. ‘우연히' 만난 것이 아니면 ‘해후한’ 것이 아니라 ‘만난’ 것이고 ‘상봉한’ 것이다. 그러므로 ‘해후’를 쉽게 고친다며 ‘만남’으로 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

그 밖에 “명절 기간 중 하룻저녁쯤은 동네 친구들과의 해후를 위해 비워 놓는다”, “한국의 동갑내기 고아 소녀에게 매달 자기 용돈을 보낸 미국 소년이 40년 만에 그 소녀를 미국으로 초청, 해후했다고 미 피츠버그포스트가제트가 28일 보도했다”, “춘향과 몽룡의 '사랑'부터 춘향을 옥에서 구해내는 '해후'까지”라는 기사 역시 ‘해후’와는 거리가 있다. ‘해후’는 공백기와 우연성을 충족할 때 써야 비로소 그 맛이 살아나는 말이다.

김희진 국립국어원 국어진흥부장

2006/12/05 주간한국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05 6ㆍ25 명칭 혼선…`전쟁기념일, 사변일`… 2007/06/24 연합뉴스
304 `민법 알기쉽게`… 한글화 작업 본격화 2007/06/19 법률신문
303 농촌여성결혼이민자용 `한국어 교재` 발간 배포 2007/06/15 농림부
302 [우리말 다듬기]`조리` 순화어 `가락신` 2007/06/13 동아일보
301 [우리말 다듬기]`솔 메이트` 순화어 `교감지기`으로 결정 2007/06/06 동아일보
300 [우리말 다듬기]`핸즈프리` 순화어 `맨손통화기` 2007/05/30 동아일보
299 영동군의회 조례.규칙 용어 정비 2007/05/23 뉴시스
298 `한글 보물창고` 제주말 `한번 골아봅서` 2007/05/17 한겨레
297 [우리말 다듬기]`캐릭터` 순화어 `특징물` 2007/05/16 동아일보
296 [우리말 다듬기]`알파걸` 순화어 `으뜸녀` 2007/05/09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