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45530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동의보감` 세계적 브랜드화 추진

명의(名醫)의 대명사인 허준 선생이 쓴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유네스코 등재와 한의약의 세계적 브랜드화가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된다.

보건복지부는 동의보감 발간 400주년(2013년)에 맞춰 동의보감의 역사적 의미와 내용을 재조명 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의보감 발간 400주년 기념사업'을 2015년까지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문화관광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등 관계부처 및 민간전문가 등과 함께 복지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기념사업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또 한국한의학연구원을 기념사업추진단으로 지정하고 이날 현판식도 가졌다.

동의보감의 '재발견' 작업은 허준 선생의 업적을 기리면서 민족의약인 한의약을 세계적인 브랜드로 육성하려는 산업적 측면이 크게 작용됐다.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따라 만성·난치성질환의 증가하면서 전통의학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되는 현실에서 동의보감을 등에 업고 한의약을 수출상품화 시키겠다는 것이다.

실제 전 세계 대체의학 시장 규모는 1993년 491억달러에서 1998년 850억달러, 2002년 1000억달러로 급팽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추진위는 우선 동의보감의 독보적인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한다. 아울러 국어와 영어로 동의보감을 번역하면서 변화된 현실에 맞게끔 '신동의보감' 편찬 작업도 이뤄진다.

산업분야에서는 '허준 엑스포' 를 개최하고 한방 웰빙테마파크 조성, 한방산업 네트워크 구성 등도 추진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동의보감 재조명 작업과 함께 한의학의 대중화, 세계화를 통해 세계적인 브랜로 육성하기 위한 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동의보감은 선조29년인 1596년 선조가 당시 태의(太醫) 허준에게 의서를 찬집(撰集)할 것을 명해 14년만인 광해군 2년(1610)에 25권25책으로 완성됐다. 이후 3년 후인 1613년 내의원에서 완간됐다.

2006/09/26 머니투데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19 표준협회, `남북 산업표준 용어 비교집` 발간 2007/09/11 프라임경제
318 <책> 자주 틀리는 방송 말 모은 `방송화법` 2007/09/07 연합뉴스
317 유래를 알면 헷갈리지 않는 `우리말 뉘앙스 사전` 2007/08/16 뉴시스
316 [한국문학세상] 전용태씨 `한국어의 모든 것, 실용 문법 편` 펴내 화제 2007/08/01 연합뉴스 보도자료
315 <다채로운 한국어의 풍경> 2007/07/24 연합뉴스
314 순한글 여성시집 `기각한필` 첫 발견 2007/06/28 세계일보
313 상처받은 우리말·글 나으라고 쓰디쓴 약 한 첩 달여놓고… 2007/06/06 한국일보
312 [단독]이율곡 `동거계사`한글 필사본 발견 2007/04/12 세계일보
311 `영랑` 시어의식 변천 한눈에 2007/04/09 한겨레
310 [책]국어생활백서―틀리기 쉬운 우리말 1260가지 2007/03/16 세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