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56396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gㅔ시㉺ㄴ

다음 이모티콘 중에서 감정을 표현한 것이 아닌 것은? ㈎:-D ㈏@}--- ㈐~: y ㈑\ o /. 마이크로소프트가 운영하는 메가 포털 MSN의 인터넷 언어능력시험에 나온 문제다. 이모티콘이나 문자를 통한 감정 표현이 뭔지 모르는 사람은 짐작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정답은 꽃을 표현하고 있는 ㈏다.

▦이 회사는 한글 창제 556돌을 앞두고 인터넷언어 순화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우리말에 대한 경시풍조를 조장하고 세대 간 단절을 초래하는 인터넷언어를 순화시키자는 취지다. 문제는 맞춤법 띄어쓰기 은어 인터넷언어 등의 사용능력을 측정하고 있다. 7개를 다 맞혀야 한글 지킴이가 되며 한개만 틀려도 한글 몽롱이가 된다.

한글문화연대라는 시민단체도 10월 한 달 동안 버스광고를 통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버스 외부의 광고판에 “바다쓰기 0점 마자떠여(받아쓰기 0점 맞았어요)”라는 문구를 넣어 통신언어의 잘못된 점을 역설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인터넷언어는 고도로 발달해 가고 있다. 우스우면 ㅋㅋㅋ, ㅎㅎㅎ, ㅋㄷㅋㄷ이라고 키 보드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다른 사람을 깔볼 때는 아햏햏하다고 말한다. ‘쩝’이나 ‘ㅠ ㅠ’ 따위는 멋쩍거나 창피할 때, 무슨 일에 실패했거나 슬플 때 사용되는 감정표현이라는 것을 금세 알 수 있다.

그런데 요즘은 외국어도 외래어도 아닌 이른바 ‘외계어’까지 번져 멋대로 인터넷언어를 만들어 쓰는 아이들을 정말 외계인처럼 생각하게 만든다. 게시판은 gㅔ시㉺ㄴ이라고 표기한다. 이것은 아주 쉬운 경우에 속한다.

어떻게 옮겨 써야 할지도 모를 것들이 수도 없이 많다.

▦신속한 의사전달에는 맞춤법이 방해가 된다. 인터넷언어의 속성도 언어파괴를 부추긴다. 우리말이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앞서 예로 든 회사도 정답이 0~3개 수준이면 한글 모르개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모르개라는 말도 생소하지만, 바른 말 쓰기를 강조하면서 정답을 맞히는 것을 ‘맞춘다’고 틀리게 써 놓았다.

“모기도 많은데” 하고 시작하는 하이마트 광고에도 딱 맞췄네라는 틀린 표현이 있었다. 아이들에게 눈높이를 맞춰야 하는지, 고운 말 바른 말을 지켜야 한다고 목청만 높여야 하는지 모르겠다. 우선 이 글의 우리말 사용에 잘못이 없길 바랄 뿐이다.

2002/10/04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79 한글날 "한글전용"촉구…광고는 한문투성이 2002/10/07 문화일보
278 인터넷 한글파괴현상 우려수준 2002/10/07 Moneytoday
277 gㅔ시㉺ㄴ 2002/10/04 한국일보
276 국고 92억 들인 표준국어대사전 한자 중심 짜깁기 2002/10/04 국민일보
275 남북한 언어 이질화 2002/09/27 국민일보
274 얼굴은 한국인, 말은 미국인 2002/09/26 일간스포츠
273 방송이 외면하는 우리말의 기본 2002/09/24 한국일보
272 류병균/`영어공용화` 문제 있어 2002/09/23 동아일보
271 독자리포트/거리의 간판들 아직도 誤字 투성이 2002/09/22 동아일보
270 국회의원 한글성 `46개` 영문표기로는 `61개` 2002/09/17 굿데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