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91255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민법용어 쉬운말로 바뀐다>

여야 의원 49명 개정안 발의

열린우리당 선병렬(宣炳烈) 의원 등 여야의원 49명은 21일 법률 전문가들조차 이해하기 어려운 민법 용어와 문장을 쉬운 우리말로 바꾼 민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국회 법사위가 충남대에 의뢰한 연구용역의 결과물인 개정안은 민법의 모든 법률 문장을 한글로 표기하되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보완 설명이 필요한 697개 용어에는 괄호 안에 한자를 병기했고, 어려운 법률 용어들은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대체했으며, 한자식 문장을 한글 맞춤법에 맞춰 교정했다.

예를 들어 `궁박(窮迫)'은 궁핍, `언(堰)'은 둑, `허여(許與)하다'는 허락하여 주다, `상당(相當)한 보수(報酬)'는 적절한 보수, `발(發)하다'는 발신하다, `의(依)하다'는 따르다. `전후양시(前後兩時)'는 전후의 두 시점, `사술(詐術)로써'는 속임수를 써서, `소수관(疏水管)'은 배수관 등으로 개정된 것.

또 `대안(對岸)'은 건너편 기슭, `대주(貸主)와 차주(借主)'는 빌려준 사람과 빌린 사람, `갈음하여'는 대신하여 등으로 바뀌었다.

선 의원은 "민법은 사법(私法)의 기본법으로서 수많은 민사 특별법들의 기초가 될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적용되는 매우 중요한 법률이지만 그동안 어려운 한자나 잘못된 일본식 용어가 너무 많은 것이 현실이었다"며 "지난 2년여 남짓 꾸준히 준비한 끝에 법률수요자인 국민에게 한발짝 다가갈 수 있는 개정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2007/02/21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75 [국어생각] `해후`의 조건 2006/12/05 주간한국
274 [우리말 다듬기]`그라피티` 순화어 `길거리그림` 2007/02/14 동아일보
273 판결문,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2007/02/13 법률신문
272 [우리말 다듬기]`비트박스`순화어`입소리장단`으로 2007/02/07 동아일보
271 `고물` 대신 `선미`(船尾)로 통일합니다 2007/02/05 연합뉴스
270 [우리말 다듬기]`프리사이즈` 순화어 `열린치수`로 2007/01/31 동아일보
269 [우리말 다듬기]`샘플러` 순화어 `맛보기묶음`으로 2007/01/24 동아일보
268 [우리말 다듬기]`케이터링`순화어 `맞춤밥상`으로 2007/01/17 동아일보
267 수능 언어영역, 10문항 10분 줄어든다 2007/01/15 뉴시스
266 대법원 `로마자 상호`도 등기 허용 2007/01/15 세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